2025.10.30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APEC 계기, 글로벌 7개사 한국에 13조 원 투자한다

AI·반도체·이차전지 등 전략산업 중심
AWS “2031년까지 50억 달러 투입”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글로벌 기업 7곳이 향후 5년간 총 90억 달러(약 13조 원) 규모의 한국 투자에 나선다. 투자 분야는 인공지능(AI)·반도체·이차전지·미래차·바이오 등 정부가 중점 육성 중인 전략산업 전반을 아우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APEC CEO 서밋’이 진행 중인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글로벌 주요 기업들이 참석한 가운데 ‘글로벌 기업투자 파트너십’을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아마존웹서비스(AWS) ▲르노(Renault) ▲앰코테크놀로지(Amkor Technology) ▲코닝(Corning) ▲에어리퀴드(Air Liquide) ▲지멘스헬시니어스(Siemens Healthineers) ▲유미코아(Umicore) 등 7개사가 참여했다. 

 

이들은 앞으로 5년간 총 90억 달러를 한국에 직·간접 투자하기로 했다. 이 중 단기간 내 유입될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약 6억 6000만 달러 규모다.

 

산업부는 “이번 투자는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 경제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신뢰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한국이 세계 혁신투자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평가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맷 가먼 AWS 대표는 “한국은 AI 혁신의 중심지로 부상했다”며 “2031년까지 클라우드 인프라 확충을 위해 5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르노는 한국을 5대 전략적 글로벌 허브 중 하나로 지정하고, 기존 생산라인을 전기차 전용 생산설비로 전환하는 투자를 추진한다.

 

지멘스헬시니어스는 경북 포항테크노파크 내 약 3000평 규모 부지를 임차해 심장 초음파 의료기기 핵심 부품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400명 이상 신규 인력을 채용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앰코테크놀로지의 반도체 후공정 시설 확충 ▲코닝의 첨단 모바일 기기용 소재 생산설비 투자 ▲유미코아의 이차전지 양극재 공장 증설 ▲에어리퀴드의 반도체 특수가스 및 공정용 첨단소재 공장 확장 등도 포함됐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번 투자가 성공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입지·환경·노동 등 전반의 규제개혁과 세제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한국을 글로벌 투자 허브로 도약시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