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 사는 청년이 수도권에 사는 청년보다 취업 준비기간이 약 3개월 정도 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학교 졸업과 동시에 취업하는 학생은 10%에 불과했다. 평균 취업소요기간은 22.7개월로 10년 전(18.7개월)보다 4개월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한국고용정보원의 고용동향브리프 2025년 8호에 실린 '청년패널로 본 청년층의 첫 직장 특성 변화'에 따르면, 최근에 수도권 거주 청년의 취업소요기간은 21.2개월인데 바해 비수도권 거주 청년은 24.6개월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 모두 취업소요기간이 평균 18개월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10년 사이 양쪽의 차이가 3개월 이상 벌어진 것이다.
한국고용정보원 연구팀은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결과적으로 청년층의 첫 직장 취업으로의 이행 과정과 환경이 최근 들어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학교를 졸업하면서 동시에 취업한 청년도 줄어들고 있다.
과거에는 5명 중 1명(17.9%)이 학교 졸업 후에 곧장 취업했지만, 최근에는 10명 중 1명만(10.4%)이 바로 직장에 들어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까지 4년 이상 걸리는 비율도 과거 13.9%에서 최근 15.9%로 늘었다.
성별로 보면 최근 취업에 걸리는 기간이 남성은 27.1개월인 반면, 여성은 18.8개월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학교 졸업 시점과 첫 직장 취업 시점 사이에 군복무 경험이 있는 남성 고졸 학력층이 일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4년제 대졸 청년은 취업까지 평균 10개월이 걸렸지만, 고졸 이하 청년은 3년 가까이 취업에만 매진했다.
대졸 이상 청년의 최근 평균 취업소요기간은 11.7개월, 전문대졸 청년은 13.9개월, 고졸 이하 청년은 33.6개월이었다.
다만 과거 고졸 이하 청년의 취업준비 기간이 48개월이던 것에 비해 최근에는 기간이 다소 줄었다.
첫 직장의 종사상 지위로 보면 정규직은 줄고 비정규직이 늘었다.
상용직 비율은 과거 73.3%에서 최근 61.2%로 크게 감소했지만, 임시직은 24.9%에서 34.7%로 급증했다. 일용직은 1.9%에서 4.1%로 증가했다.
연구팀은 "과거와 비교해 취업소요기간이 길어지고 있는 가운데, 졸업한 청년층 중 상당수는 본인이 희망하는 일자리 수준이 아니어도 경력을 쌓는 등의 목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에 취업하는 경우도 있는 것"이라고 추정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한국고용정보원이 우리나라 청년층을 매년 추적조사하는 청년패널조사를 토대로 청년패널 2007(2004∼2013년)과 2021(2014∼2023년)의 10년간 취업 시점을 비교한 결과다.
[ 경기신문 = 안규용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