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08 (일)

  • 구름많음동두천 24.1℃
  • 흐림강릉 24.9℃
  • 구름조금서울 26.6℃
  • 맑음대전 26.2℃
  • 구름많음대구 26.0℃
  • 맑음울산 25.0℃
  • 맑음광주 26.3℃
  • 맑음부산 26.9℃
  • 맑음고창 22.8℃
  • 구름조금제주 27.8℃
  • 구름조금강화 21.9℃
  • 구름조금보은 24.9℃
  • 맑음금산 24.3℃
  • 구름조금강진군 25.6℃
  • 구름많음경주시 25.0℃
  • 맑음거제 26.7℃
기상청 제공

'강남發 아파트벨트' 용인찍고 평택까지

주택 10채중 6채...연립.다세대 포함 전체의 77.7%

 

편집자주 경기도와 아파트는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 수도권이라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30년이상 서울의 주택부족을 해소하는 운명적 역할을 수행해 왔기 때문이다.
또 세월이 지나면서 내집 마련의 꿈을 실현해 주던 아파트가 삶의 질을 퇴행시키는 새로운 부담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5차례에 걸쳐 아파트가 경기도에 끼친 영향과 21세기적 주거문화를 위한 진단을 실시해 본다.

시리즈 순서
1. 서언-아파트로폴리탄(Apartropolitan), 경기도
2. GB에도, 농지에도 아파트-난개발
3. 부정부패의 온상-아파트 인허가
4. 주거의 질(質)을 생각한다
5. 전문가들에게 듣는다

1. 아파트로폴리탄(Apartropolitan), 경기도
- 도내 주택 10채 중 6채가 아파트, 연립·다세대 포함하면 77.7% 차지
- 경기남부지역의 경우 오산부터 서울까지 아파트로 이어져

경기도내 주택 10채 중 6채가 아파트다.
특히 경기남부지역은 도 경계인 안성, 여주, 평택 등지에서 시작된 아파트 숲이 수원·용인·군포·안양·시흥시를 거쳐 서울시까지 이어지는 거대한 아파트로폴리탄(Apartropolitan)을 형성하고 있다.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아파트 비율은 지난 1995년 전제 주택 160만8천692호 중 73만9천438호로 46.0%를 차지하는 데 그쳤으나 2003년에는 252만2천94호 중 150만784호로 59.5%까지 증가했으며, 그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
지난해 도내 주택을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가 158만2천889호로 전년 대비 0.6% 증가한 60.1%를 차지했고, 단독주택이 58만5천967호로 22.2%, 연립 및 다세대주택이 17.7%로 뒤를 이었다.
아파트에 연립 및 다세대주택을 포함하면 공동주택 비율이 77.7%에 이르는 기형적 구조를 보이고 있다.
시·군별로는 2004년말 기준 과천시가 81.0%로 아파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군포시(79.7%), 고양시(75.5%), 의정부시(71.1%), 구리시(69.5%), 용인시(68.6%), 오산시(67.5%), 시흥시(67.1%), 안산시(66.7%), 수원시(66.3%), 의왕시(66.0%), 안양시(65.4%), 남양주시(63.7%), 김포시(61.7%) 등이 도 평균을 상회했다.
각 시·군의 아파트 비율은 점차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노태우 정권 시절 수립된 주택 200만호 건설사업을 분기점으로 지난 1999년 이후 아파트 건설이 급증함에 따라 2001년 이후 기존 주거지역 외에서의 아파트 건설 비율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995년 건설된 아파트 중 전용 또는 일반 주거지역에서의 아파트 비율이 88.1%로 절대적이었으나 2000년에는 그 비율이 64.4%까지 낮아졌다.
기존 주거지역에서 택지 개발이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 향후 도·농 복합도시 위주로 기타 지역에서의 아파트 건설 비율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아파트 건설의 지역별 편차가 줄어드는 데다 대다수 주택이 아파트로 공급되는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도에 따르면 도내에 최근 건설 중인 주택의 90% 이상이 아파트로 건설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주거 획일화에 따른 문제가 우려된다"며 "아파트의 양적 부족 현상이 해소되고 있는 만큼 질적 향상을 모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공동주택의 질적 변화는 재건축·재개발로만 가능해 주택의 질적 변화가 더딜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양적인 측면을 보면 2004년말 기준 도의 총 주택 수는 263만4천672호로 도내 271만6천665가구 대비 96.98%의 주택보급률을 보이고 있다.
100% 가까운 높은 주택보급률에도 불구하고 도내 주택은 아파트 일변도로 획일화되고 있어 주택의 질적 향상과 다양화 측면에서 문제가 많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저밀도 주택과 고밀도 주택, 아파트와 단독·저층주택을 환경친화적으로 병행 건설해야 할 당위성은 커지고 있다.
그러나 경기도가 처한 수도권이라는 위치와 편리성을 추구하는 도시민들의 절대적인 선호 속에 아파트 집중화가 단기적으로 해소되기는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다만 이미 기존 주택시장에서 공동주택의 비율이 높은 만큼 재건축·재개발 사업에 환경친화적 요소를 강제해 기존 주택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는 여론이 급부상, 눈길을 끌고 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