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사설 [현대사회 밑줄 긋기] 진짜 세상은 알고리즘 밖에 있다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 애니메이션이 41개국에서 1위를 차지하며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애니메이션의 인기와 함께 수록곡도 빌보드 글로벌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하고, 이에 관한 인터넷 밈 또한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각 플랫폼이 도입한 개인화 알고리즘 덕분이다. 알고리즘이란 한정된 단계 안에서 문제의 해답을 산출하도록 짜여 있는 체계적 절차를 의미한다. 알고리즘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간략히 설명하자면 개인화 알고리즘은 머신 러닝을 기반으로 한 추천 프로그램이다. 먼저 성향이 비슷한 이용자를 통해 추천할 콘텐츠 후보를 생성한다. 이후 해당 이용자의 클릭률·시청시간·만족도 등을 기준으로 점수를 매겨 후보 간의 순위를 정한 뒤 콘텐츠를 추천한다. 이후 이용자가 ‘좋아요/싫어요’ 등의 피드백을 전달하면 이를 학습한 뒤, 가중치를 조정하여 다시 추천하는 단계를 반복한다. 현대인들은 개인화 알고리즘의 편리함을 느끼며 살아간다. 포브스코리아가 선정한 ‘2024 한국인이 사랑한 모바일 앱 200’ 중 상위 10개 앱에는 유튜브, 카카오톡, 쿠팡, 인스타그램 등 총 8개 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개인화 알고리즘을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