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어린이집 339곳이 통학차량 운행 미신고, 보조금 허위신청 및 유용 등 관련 기준을 위반한 채 막무가내로 운영해오다 경기도 단속에 적발됐다. 이 가운데 어린이집 2곳은 운영정지 됐으며 1천526만원의 보조금이 환수되고, 과징금 2천만원이 부과됐다. 경기도는 이같은 내용의 도내 어린이집 통학차량 안전 지도점검 실시 결과를 6일 발표했다. 단속은 지난 6월 10일부터 3주간 처벌 전력이 있거나 부실운영이 우려되는 638곳의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통학 차량 신고여부, 안전운행 요건 이행 여부 등 어린이집 통학차량의 운행 관련 사항을 중심으로 실시됐다. 또 재무회계, 급·간식, 위생분야 등 전반적인 운영 상태도 함께 점검했다. 이 결과 위법 및 부당운영 사례 등 918건이 적발됐다. 통학차량 운행과 관련해서는 경찰서에 미신고 20건, 안전벨트 미장착 등 안전기준 위반 92건이 확인됐다. 보조금 허위신청·유용 9건, 급식비 목적외 사용 등 회계분야 142건, 보조교사 미신고 등 종사자분야 114건, 아동·보육교사 건강검진 미실시 등 안전·건강분야 178건 등 어린이집 운영관련 위반사항이 806건에 달했다. 이번 점검에서 처벌을 받은 어린이집은 339곳으로 조사대상
경기도가 집중호우로 피해를 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100억원 규모의 재해복구 자금을 투입한다. 또 가평군 등 4개 수해지역에는 응급복구 20억원을 재난관리기금에서 추가 지원한다. 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달 11~15일, 22~24일 발생한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피해복구를 위해 100억원 규모의 재해복구 자금을 7일부터 지원한다. 재해 특별경영자금은 업체당 10억원 이내로 연 3%의 고정금리가 적용된다. 소상공인 지원금액은 기존 5천만원에서 7천만원으로 규모를 확대했다. 폭우로 침수를 당하거나 붕괴 등으로 시설물·제품·원자재 등의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해당 지자체에서 재해중소기업(소상공인) 확인증을 발급받아 경기신용보증재단 시·군 지점에 신청하면 된다. 도는 또 재해 긴급자금과 별도로 재해 중소기업에 도 중소기업육성자금 가운데 운전자금은 한도를 5억원에서 10억원으로, 시설자금은 30억원에서 60억원으로, 신기술·벤처창업자금은 15억원에서 30억원으로 확대해 지원한다. 재해 발생 전 도 중소기업육성자금을 지원 받은 중소기업은 융자금 상환을 최대 1년까지 유예해준다. 이와 함께 수해피해가 큰 가평군, 여주군, 이
경기도내 주민등록인구가 서울보다 200만명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들어 주민등록 총인구는 11만6천여명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5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7월말 기준 경기도내 주민등록인구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1천218만1천533명으로 서울시 1천17만2천2명 보다 200만9천531명이 많았다. 도내 인구는 지난해 대비 8만8천254명이 늘어난 반면, 서울시는 2만3천316명이 줄었다. 도와 서울시 간 인구 격차가 200만명을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도내 인구는 2003년말 1천20만6천851명으로 처음으로 1천만명을 돌파하면서 서울시 인구를 넘어선 이후 계속 늘어 서울시와 격차를 벌여왔다. 31개 시·군 가운데는 수원시가 113만8천826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성남시 98만320명, 고양시 97만8천805명, 용인시 93만1천463명, 부천시 86만6천780명 순이었다. 특히 수원시 1만8천568명, 김포시 1만6천401명, 용인시 1만5천504명, 남양주시 1만1천885명, 고양시 8천889명 등의 인구 증가세가 두르러졌다. 반면, 서울시 인구는 지난 2003년 1천17만4천86명으로 도에 추월당한 이후 증감을 거듭하다 2010년 이후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수도권 규제를 비롯한 산업단지 입지 정책의 대대적인 수정을 밝혔다. 정부의 ‘3단계 투자활성화 대책’에 제도개선을 주요 내용으로 한 산업단지 활성화 대책을 포함키로 한 것이다. 특히 기업의 투자유치를 통한 산단 활성화를 위해 중앙과 지방의 산단을 전반적으로 살펴 기능별로 규제를 풀기로 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수도권 규제 등으로 인한 입지 제한에 어려움을 겪어온 도내 산단 개발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경기침체, 투자 위축…산단 개발 난항 =현재 도내에는 총 115곳의 일반산업단지가 조성됐거나 추진중이다. 이 가운데 77곳이 조성완료 됐고, 23곳은 조성중이며 13곳은 조성을 준비중이다. 2곳은 보상에 착수했다. 또 22곳이 분양에 들어간 상태며 14곳은 분양을 계획하고 있다. 하지만 14곳 가운데 용인 덕성과 파주 법원1은 지난 2008년 6월과 12월에 산단 지정됐으나 보상조차 들어가지 못한 상태다. 2010년 3월 지정된 평택 브레인, 파주 법원2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파주 적성, 김포한강시네폴리스, 이천 설성 등 역시 2011년 지구지정이 된 이후 2년이 넘도록 보상에 들어가지 못하고 허송세월을 보
부동산 경기침체로 난항을 겪고 있는 경기도내 산업단지 조성에 청신호가 켜졌다. 최근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수도권 규제를 비롯해 일터와 삶터가 공존하는 정주기반형으로 산단 입지 정책을 대대적으로 수정키로 해서다. 현재 도내 115곳의 일반산업단지 가운데 30%가 넘는 38곳이 조성에 차질을 빚고 있다. 3일 경기도와 국토해양부 산업입지정보시스템에 따르면 도내에는 6월 말 기준 국가 13곳, 일반 115곳, 도시첨단 1곳, 농공 1곳 등 총 130곳의 산업단지가 조성됐거나 추진중이다. 일반 산단 가운데 77곳이 조성완료 됐고, 23곳은 조성중이며 13곳은 조성을 준비중이다. 2곳은 보상에 착수했다. 5천397만2천㎡가 산단으로 지정돼 2천303만4천㎡가 개발됐고, 2천171만1천㎡가 분양됐다. 미분양률은 5.7%에 불과하다. 하지만 최근 부동산 경기침체가 장기화 되면서 산단 조성 및 분양이 지지부진한 상태다. 조성면적이 지난 2008년 2천202만5천㎡에서 올해 3천251만6천㎡로 47.6% 늘어난 데 비해 분양면적은 1천503만4천㎡에서 2천171만1천㎡로 41.9% 증가하는데 그쳤다. 용인 덕성과 파주 법원1(2008년), 평택 브레인, 파
경기도시공사가 파주 당동·선유·월롱산업단지 내 지원시설용지 4필지와 주차장용지 3필지 등 총 7필지 1만4천409㎡를 일반 실수요자에게 공급한다. 지원시설용지는 4필지는 1㎡당 108만4천~141만7천원이며 1·2종 근린생활시설과 업무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주차장용지 3필지는 연면적 30%까지 근생시설과 업무시설을 설치할 수 있으며 1㎡당 71만7천~77만6천원이다. 3개 지구 모두 파주LCD산단과 인접해 있으며 당동산단은 외국인투자지역으로 임대비율이 87%에 달하고, 선유산단은 86%, 월롱산단은 100% 공장용지가 분양·완료됐다. 입찰은 오는 8일 공사 토지분양시스템(http://buy.gico.or.kr)을 통해 실시된다.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시공사 홈페이지(www.gico.or.kr) 분양공고와 토지분양시스템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공사 관계자는 “최근 산업단지 내 지원시설용지가 임대를 목적으로 한 실수요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며 “이번 분양 역시 도로접근성이 좋거나 주변에 소비수요가 많은 필지는 높은 경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문의: 경기도시공사 판매관리처 산단분양팀(☎031-220-3583)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천연물신약연구소 RIS사업단이 오는 16일까지 ‘경기 기능성 천연물산업 육성 지원사업’ 수혜 기업을 모집한다. 대상은 천연물을 소재로 한 제약, 건강기능식품, 기능성화장품 등의 제품을 제조하는 도내 중소기업이다. 마케팅과 기업지원 분야로 나눠 2억9천여만원이 지원된다. 마케팅지원은 온·오프라인 마케팅 및 유통 전문기업과 연계, 기업들이 평소 애로를 느끼는 홍보와 유통 분야에 대해 현실적고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신청은 경기과기원 홈페이지(www.gstep.re.kr)에서 신청서류를 내려받아 작성 후 제출하면 된다.(문의: 경기과기원 천연물신약연구소 RIS사업단 ☎031-888-6109)
경기도와 강원도, 충청남도 등 광역자치단체 인재개발원 3곳이 교육과정을 공유하기로 합의했다. 박익수 경기도인재개발원장, 한만수 강원도인재개발원장, 김석중 충청남도공무원교육원장은 31일 오전 11시 도인재개발원에서 3개 기관의 교류협력 내용을 담은 ‘교육협력사업 협약서’에 서명했다. 협약에 따라 3개 기관은 우수 교육과정을 공유하고, 다른 지역 공무원에게도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 또 기관별 특색사업에 대한 정보도 교류한다. 이번 협약으로 도인재개발원과 교육협력을 맺은 기관은 모두 6곳으로 늘었다. 도 인재개발원은 교육기관간 상생발전을 위해 지난해 1월 경기도소방학교와 경기지방경찰학교, 2월에는 서울시와 인천시 인재개발원과 각각 교육협력을 체결, 순회교육을 실시중이다. 박익수 원장은 “이번 교육협력 사업이 국민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정부3.0에 부합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부동산 활성화를 위한 취득세 영구 인하는 지방재정의 안전성을 위협해 지방세제 전반에 대한 개편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자치경영연구실 송상훈 연구위원이 31일 발표한 ‘부동산세제 개편과 지방재정’에 따르면 지난 2011년 국내 부동산 과세는 총세수의 13%인 30조원이 징수됐다. 이 가운데 취득세와 양도소득세로 구성된 부동산 거래세가 21조원으로 70%를 차지했다. 반면,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부동산 보유세는 8조6천억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 몫인 부동산세가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따라 수시로 개편, 지방재정의 취약성을 불러왔다. 현재 정부가 부동산 활성화를 위해 추진중인 취득세율 항구 인하 역시 지방세수의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취득세율 인하에 대한 국세이양, 지방세 세율인상, 지방세 신세목 도입 등 지방정부의 재정 보전대책은 명확히 제시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송 연구위원은 취득세 개편은 중앙과 지방의 기능배분과 함께 지방세제의 전반적인 개편을 주장했다. 우선 소득세 과표구간에 따라 국세 소득세와 지방소득세의 재원 이원화할 것을 강조했다. 낮은 세율이 적용되는 구간의 소득을 지방소득세 소득세분의 세
경기도의 민원 업무를 전담하는 120콜센터 상담사들이 각종 폭언과 성적비하 발언 등으로 고통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이들의 직무스트레스를 덜어주기 위해 힐링 시스템인 ‘헬스키퍼’ 제도를 도입키로 했다. 3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16일부터 민원 상담사들의 스트레스 관리 등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헬스키퍼’ 제도를 도입, 운영중이다. 이 제도는 민원 상담사에게 힐링 프로그램을 제공해 직무스트레스를 해소시켜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는 국가공인 안마자격증을 보유한 시각장애인 안마사를 채용, 매월 1회 이상의 스포츠마사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사무실에 산소발생기를, 휴계실에 시화 액자들을 새롭게 설치하는 등 쾌적한 근무환경을 조성했다. 오는 10월에는 이틀에 걸쳐 스트레스 관리요법 등을 배우는 힐링 캠프도 운영된다. 도가 이 같은 헬스키퍼 제도를 도입한 것은 민원 업무를 전담하는 120콜센터 상담사들이 폭언과 성적비하 발언 등 다양한 악성 민원전화로 스트레스에 시달리기 때문이다. 실제 “아침부터 목소리가 왜 그래, 재수 없게”, “야 XX야 내말 안들려? 귀머거리야?”, “남자상담원은 너무 무서워, 위로해 줘” 등의 폭언과 장시간 상담, 성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