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미술시장 동향을 알 수 있는 ‘2024 화랑미술제’의 뒤를 잇는 아트페어 ‘아트 오앤오 2024(ART OnO 2024)'가 오는 19~21일 서울 강남 서울무역전시장 세택(SETEC)에서 개최된다. 아트 오앤오는 MZ세대를 대표하는 컬렉터 노재명 대표가 2019년 한국 미술 시장을 해외에 알리기 위해 설립한 아트페어다. 컬렉터가 아트페어를 만든다는 신선한 발상에 많은 주목을 받았고, 해외와 국내의 컬렉터들과 관계자들이 많은 지지를 보내고 있다. 2022년 1조원을 돌파하며 급성장한 한국 아트 마켓에 젊은 컬렉터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 이번 아트페어에는 20여 개국 50여 개 갤러리가 참가한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등의 갤러리가 참여해 갤러리 비중이 국외가 국내보다 많은 것이 특징이다. ‘Young, Fresh but Classy’(젊고, 신선하지만 품격있는)라는 가치와 방향성을 토대로 아트바젤, 프리즈와 같은 메가 아트페어와 베니스, 이스탄불 비엔날레 참가하는 갤러리 중 이머징(새롭게 급부상하는) 작가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갤러리를 선별한다. 1980년 파리에 설립한 블루칩 갤러리 Chantal Crousel(샹탈
경기침체와 고금리의 영향으로 지난해 국내 미술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17%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지난달 19일 발표한 ‘한국 미술시장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술 시장 거래 규모는 6675억 원으로 ‘1조’를 기록했던 전년보다 1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위축된 부분은 경매회사의 작품 판매 규모로, 작품판매액 1499억 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36.1%가 감소했다. 그 외에 화랑의 작품 판매 규모는 4254억 원으로 전년 대비 5.6% 감소했다. 아트페어의 작품 판매 규모도 2886억 원으로 전년 대비 5.5% 감소했다. 미술관 작품 구매액도 크게 줄어 193억 원으로 전년 대비 32.2%가 감소했다. 건축물 미술작품 설치금액도 835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7% 줄어들었다. 다만 기반영역에서 미술은행의 작품 구매액은 29억 원으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 올해 화랑, 경매회사, 아트페어, 미술관 대상 조사결과 미술시장은 2023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전망이 47.3%를 차지했다. 다소 불황할 것이라는 전망이 26.0%로 그 다음으로 많았는데, 부정적 전망의 이유로 화랑은 경기침체와 구매·판매 감소를
세계디지털아트페어(WDAF) 초대작가전이 28일부터 31일까지 용인 포은아트갤러리에서 열린다. ABS갤러리가 주관하는 이번 전시는 ‘그림을 노래하다’라는 주제로 권태원, 원종신 작가와 소프라노 김황경, 메조소프라노 변지현, 피아니스트 한미연이 함께 한다. 개막일인 28일에는 원종신 디렉터가 그림을 해설하고, 그림과 연상되는 노래가 연주되는 방식의 아트리노 살롱 콘서트가 진행돼 미술과 음악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예술가와 관객이 예술적 영감을 공유하는 장을 만든다. 권태원 작가는 ‘마리’라는 캐릭터를 활용해 작가 내면의 다채로운 이야기를 선보이고 있다. 권 작가는 2018년 그림책(시간선물)으로 경기콘텐츠진흥원 히든 작가에 선정됐으며, 다수의 아트페어와 개인전으로 대중과 만나고 있다. 송은문화재단과 소마미술관 아카이브 작가로 선정된 원종신 작사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이수했으며, 경기대 시각디자인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회화와 사진, 컴퓨터 세 가지 영역의 접합과 개입을 통해 새로운 형식의 이미지를 선보이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권태원 작가는 ‘2070 기다림’이라는 작품에 2070년 우주로 이주하는 신인류의 감성
미술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 있는 MZ 세대를 위한 예술 놀이터라 불리는 ‘시끄러운’ 아트페어가 열린다. 오는 28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B홀에서 열리는 ‘어반 브레이크 2021’에서는 아시아 최대 어반 컨템퍼러리 아트와 스트리트 컬처를 만나 볼 수 있다. 도시를 캔버스 삼아 예술 활동을 펼치는 그래피티(Graffiti) 등 서브컬처와 예술성의 조화를 이뤄낸 어반 아트를 주제로, MZ 세대가 즐길 수 있는 예술 축제의 장이자 놀이터로 펼쳐진다. 100여 명 작가의 1200여 개 작품이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갤러리 40여 곳, 초청작가 40여 팀, 브랜드 10여 곳 등 총 100여 개 부스로 꾸며진다. 익살스러운 캐릭터 그림으로, 지난해 행사에서 완판 신화를 만든 버거만(Jon Burgerman)을 필두로 ‘아시아의 뱅크시’ 백사이드 웍스(Backside Works) 등이 참여한 해외 작가 특별전과 마돈나의 마음을 사로잡은 고상우, 즉흥적 터치로 일상을 그려내는 콰야, 툴보이(TOOLBOY) 등 국내 작가들의 작품도 함께 볼 수 있다. 또한 여주 등 경기도 내에서 새로운 예술을 선보이는 작가들의 작품 역시 전시된다. MZ 세대를 겨냥한
올해 하반기 가장 주목할 만한 행사를 꼽으라면, 아마도 '어반 브레이크 아트 아시아(URBAN BREAK Art Asia)'를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행사 명칭에서 알 수 있듯, 이번 아트페어의 콘셉트는 '어반 아트'다. 오는 12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C홀 2&3에서 진행하는 '어반 브레이크 아트 아시아'는 우선 대한민국에서 처음, 아니 아시아에서 최초 시도일 만큼 특별한 아트페어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도 스트리트 아트, 그래피티 등의 도시미술에 대한 이해가 다소 부족한데다 미술시장은 특히나 더 보수적인 편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번에 독특한 예술세계를 보여주는 한국의 어반 아트 작가들은 물론 해외에서 인정받고 있는 작가들이 대거 소개되는 것이다. 놀라운 상상력과 끊임 없는 에너지로 도시의 새로운 시각 이미지를 만드는, 이들의 행보를 한국과 아시아 시장에 공개하는 어반 아트페어는 그 자체만으로도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기존의 획일적인 화이트월 전시 형태가 아닌 스트릿 컬처의 특색이 그대로 녹아 있는 공간, 어반 아트와 가구가 한데 어우러져 밀레니얼 라이프스타일을 보여주는 공간 등에서 전시가 이뤄진다는 점도 특징이다. 보통 아트페
"아트 아시아는 이번이 세 번째이고, 항상 추구하고자 했던 건 새로운 확장과 융합이었습니다." 어반 브레이크 아트 아시아 운영위원회 장원철 위원장은 "지난해에 현대미술을 전반적으로 다뤘다면, 올해는 어반아트에 포커스를 맞췄다"며 이같이 밝혔다. 처음에는 K-POP과의 확장을 통해 작곡가 김영석이 예술감독을 맡고 킨텍스에서 전시를 했었고, 코엑스로 장소를 옮기면서 어반아트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이름을 변경했다는 말이다. "1970년대 거리 벽화라고 하면 그저 골칫거리로 치부됐죠. 그림을 그리다 도망가고, 잡히면 벌금을 내고. 이랬던 게 이제는 한 축으로, 어반 컨템포러리 아트라는 장르가 만들어졌어요. 게다가 다양한 장르들이 결합되면서 하나의 문화적 예술장르를 만들어나가고 있기도 합니다." 이 안에는 스프레이 페인팅, 스텐실, 포스터, 사진, 스티커까지 포함된다. 또 거기엔 힙합문화도 결합이 된다고 장 위원장은 설명했다. "사실 전 세계적으로 어반아트를 전문으로 다루는 플랫폼은 저희가 최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최초라는 말보다는 얼만큼 잘 하느냐, 잘 보여주느냐가 더 중요하겠죠." 그 만큼 행사를 준비하는 내내 많은 고민과 노력을 기울였다는 그다. "원래는 지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