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5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7년째 조감도만 바라볼 뿐…

과천 지식정보타운 ‘끝없는 표류’

부지 · 규모조차 미정
6월 건교부심의 관건

과천시 지식정보타운 건설은 시 승격 이래 최대 역사(役事)로 꼽히고 있다.

그러나 이 사업은 최초 계획입안 후 장장 7년이 지났으나 손에 잡히는 것은 하나도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진척이 없다.

모든 계획서가 경기도를 경유해 건설교통부에 전달한 지 올해로 5년째 접어들고 있으나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에 따른 그린벨트 조정가능지역 승인은 물론 전체 규모조차 확정되지 않은 채 끝없는 표류만 거듭하고 있다.

한국 실리콘 벨리를 표방한 지식정보타운은 해당 지역주민들은 말할 것도 없고 IT(정보기술)산업과 관련된 업계들의 비상한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지식정보타운의 그간 추진과정과 향후 전망, 문제점 등을 짚어보는 것은 그런 뜻에서 매우 의미가 깊다.

◇그간 추진경위

과천시가 지식정보타운을 최초 입안한 것은 지난 2000년 6월로 47번 국도 변인 갈현동과 문원동 일대 50만평의 그린벨트를 대상지로 삼았다.

국토연구원과 경기개발연구원의 타당성 용역 등 필요한 단계를 거친 시는 입안권자인 경기도에 2002년 상정했다.

3년 뒤 국토연구원과 경기개발연구원의 타당성 용역 결과 성공가능성이 점쳐진 지식정보타운은 지난 2005년 12월 토지공사와 공동사업시행을 위한 기본협약을 체결, 본격적인 궤도에 진입했다.

이 협약은 총 개발사업비 8천억 원을 공동 부담키로 하고 설계와 시공, 분양단계까지 공동 추진키로 약속하는 내용을 담았다.

◇세부계획과 경제효과

IT 클러스터 단지인 지식정보타운은 50만평 중 12만평은 주택용지로 4천170세분의 아파트를 지어 분양키로 했다.

또 12만평엔 디지털 콘텐츠와 정보통신 계열 R&D 산업을 유치하고 나머지는 공원녹지와 공공용지로 사용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공영개발방식은 토지개발, 투자유치, 공공건축 등 3단계로 이뤄지며 재원조달은 시의 부담분인 4천500억원(추정액)을 지방채 발행과 시가 조성중인 개발기금으로 충당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파급효과는 인구 1만2천명 증가 5만9천명 고용증대 경과효과는 한해 4200억원 시세와 도세 연간 2백억원 증가 외 정부과천청사 이전으로 상실된 행정도시란 도시브랜드를 정보도시로의 대체효과도 겨냥하고 있다.

◇향후 전망과 문제점

지식정보타운의 전체 윤곽은 늦어도 오는 6월 중 건교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안 본 심의에서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이란 제도를 지난 2003년 도입한 이래 고개를 길게 내밀고 결과를 지켜봤지만 매번 연기돼 그간 마음고생이 심했다.

현재로선 중도위 본 심의에서 지식정보타운 입지로 알려진 갈현, 문원동 일대가 GB 조정가능지로 지정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다만 문제는 조정가능지의 면적이다.

경기도와 시는 줄기차게 50만평을 주장하고 있는데 반해 작년 12월 개최된 중도위 소위원회는 39만평으로 축소할 것을 요구했다.

소위원회 의견이 본 심의에서 거의 반영되는 관례상 축소는 불가피한 것으로 시는 받아들이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안 승인으로 진행될 각종 개발사업들이 저층, 저밀개발이란 건교부 입장도 또 하나의 악조건으로 작용, 개발계획수정은 불가피하다.

시는 면적축소로 주택 및 산업단지가 당초보다 20% 각각 축소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주택은 당초 6~10층 아파트를 짓기로 했으나 15층으로 높여 종전 공급물량엔 지장이 없다고 하나 저층 저밀개발의 장벽 극복이 최대 관건이다.

분양원가가 평당 1천만원대에 달한다는 것도 사업성공성을 장담할 수 없는 걸림돌 중 하나다.

경기도 화성 아래 지역이 산업단지 분양가격이 3~4백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교통과 자연환경이 좋다는 점을 감안해도 입주 희망업체로선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게다가 해당지역의 땅값이 하루가 다르게 뛰는데다 예정부지엔 투기를 노려 최근 1~2년 새 전답에 비닐하우스의 난립과 각종 묘목을 심어놓아 전체 사업비의 상승요인으로 분양시점에현 원가보다 상승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시 관계자는 “(지식정보타운 건설은) 면적축소와 분양원가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하지만 당초 시가 목표한 계획 달성엔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