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자궁출혈(機能性 子宮出血·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은 난포 호르몬과 황체 호르몬의 균형이 무너져 자궁강 안에서 일어나는 출혈로 정상적인 생리 주기에서 벗어난 비정상적인 출혈을 말한다. 정상 주기의 호르몬 신호들이 혼란스러워질 때 기능성 자궁 출혈이 발생한다. 때로는 임신 관련 질환이나 자궁근종 등 자궁의 기질적 병변에 의한 출혈을 제외한 무배란성 자궁 출혈을 일컫기도 한다. 이때 출혈 정도는 많을 수도 적을 수도 있고 짧거나 길 수도 있어 출혈 양과 기간을 한마디로 규정하기는 어렵고 원인에 대해서는 교정후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도움말=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전용탁 교수>
◇기능성 자궁출혈 증상
질 출혈은 여러가지 다양한 산부인과적 질환에서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증상 가운데 하나다. 또한 외음부, 질, 자궁, 복강 등 출혈 부위가 다르더라도 환자에게는 모두 질 출혈로 생각될 수 있고 때로는 방광과 신장에서 일으킨 출혈도 질 출혈로 여겨질 수 있으므로 비정상적인 출혈이 나타나면 반드시 병원 검진을 받을 필요가 있다.
또 발열, 복통, 어지럼증, 기절 등이 일어날 때도 전문의 진찰을 받을 필요성이 있다.
초경이 시작된 이래 수년 동안은 주로 시상하부의 미숙에 의해 호르몬이 균형 있게 분비되지 못하기 때문에 생리주기도 불규칙하고 생리량이 많을 수 있다. 나이 든 여성들도 폐경이 가까워지면서 주기가 점점 더 불규칙해지고 양 또한 적어지거나 많아질 수 있다.
호르몬의 불균형은 생리주기를 길거나 짧아지게 하며 출혈량도 정상보다 많거나 적게 할 수 있다. 또 급격한 체중 감소나 증가, 심한 운동, 스트레스, 만성 질환이나 약물 사용도 주기를 불규칙하게 할 수 있다. 가임기에 피임약을 복용하거나 폐경기 여성이 호르몬 보충요법을 사용할 때도 질 출혈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기능성 자궁출혈 예방
기능성 자궁 출혈 방지 관련 뚜렷한 예방 방법은 없다. 다만 기능성 자궁출혈로 진단하기에 앞서 다음 질환들의 가능성에 대해 반드시 진찰을 통해 치료받는 것이 반복적인 기능성 자궁출혈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임신과 관련해서는 임신 초기 출혈, 절박 유산, 습관성 유산, 자궁외 임신, 융모성 질환 등이 있고 내진과 초음파로 진단할 수 있는 자궁·난소의 기질적 병변들로는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자궁내막 과증식증, 난소종양, 자궁내막 용종 등이 있을 수 있다.
또 자궁경부 용종, 자궁경부염 등 자궁경부 질환일 수도 있고 자궁경부암, 자궁체부암, 질암 및 난소, 난관 종양 등 악성 종양일 수도 있다. 이밖에도 갑상선 질환을 비롯한 내분비 질환, 만성적 간·신장·혈액의 이상 등 기타 내과적 질환들도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
계속해서 불규칙적인 주기가 이어지면 전문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기능성 자궁출혈 원인과 검사
출혈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과거 병력 및 생리주기를 살펴야 한다.
부정출혈의 병력이 3개월 이상 지속되고 어지럼증이 있을 때, 생리주기가 21일 이내로 너무 짧거나 반대로 너무 길 때, 생리 기간이 7~8일 이상이거나 양이 너무 많아 큰 덩어리가 나올 때, 임신을 원하는 여성이 경우 생리가 불규칙할 경우, 폐경 이후에 호르몬제를 복용하지 않았는데도 출혈이 있을 경우에는 전문의 진찰이 필요하다.
출혈 양상, 복용중인 약물, 피임 방법, 만성 질환, 내분비학적 질환 및 출혈성 질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설명해야 정확한 진단을 도출해낼 수 있다.
진료담당 전문의는 우선 과도 출혈의 징후를 점검하고 내진을 실시해 생식기에 기질적 병변여부를 살펴보고 필요에 따라 혈액 검사, 세포진 검사, 임신 반응 검사, 자궁내막 생검, 세균배양 검사, 초음파 검사, 식염수주입 초음파 자궁조영술, 진단적 복강경 등을 실시할 수 있다.
◇기능성 자궁출혈 치료
치료 방법은 원인을 정확히 파악한 후 출혈량에 따라 보존적 관찰을 하거나 원인에 따른 치료에 나서야 한다.
특히 용종(자궁내막 또는 자궁경부)에 의한 출혈의 경우는 자궁내시경을 이용해 치료하는 것이 정확도가 높아 반복적인 치료를 피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호르몬 요법으로 호르몬의 균형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면서 생리가 규칙적으로 이뤄지도록 하며 비만 여성의 경우, 음식량 조절, 적당한 운동 등을 통해 체중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치료 불가능한 만성적 내과 질환이 있을 때는 건강 상태와 마취의 위험성을 고려해 자궁 적출 수술을 고려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