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 입냄새(구취·口臭) 때문에 고민하는 이들이 많다. 구취는 구강에서 나는 불쾌한 냄새를 일컫는다. 이는 사회활동 영역이 넓어지고 인간관계가 다양해지면서 말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구취로 인해 상대방이 기피함이 반복되면 대인 기피증 등 심각한 질환을 야기할 수 있어 그만큼 구취는 개인 질환이자 사회적인 면을 함께 지녀 환자는 그만큼 심적부담이 큰 것으로알려져 있다. 누구나 생리현상으로 인해 약간의 입 냄새를 갖고 있지만 여기서 말하는 구취는 자신이나 타인에게 불쾌감을 줘 치료를 요할 정도를 말한다. <도움말= 분당차병원 치과 심선주 교수>
▲구취 원인
첫 소화기 구실을 하는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은 당연한 일로 이 정도를 구취라고 하지 않는다. 심하게 냄새가 나는 구취의 주된 이유는 구강위생이 나빠 일어난다. 양치질을 소홀히 하면 음식찌꺼기가 분해되면서 악취가 나고 충치와 치은염 등이 발생해 구취가 심해질 수도 있다. 치은염 중 참호치은염은 구린 냄새가 심하게 난다.
소화된 음식물의 역류나 위장관 가스를 배출하는 트림도 구취를 발생시키고 구강·인후·폐 등의 혐기성 세균감염과 녹농균에 감염됐을 때도 심한 냄새가 나는 등 여타 장기별 질환에 따라 다양한 냄새가 발생해 질병 진단시 활용되기도 한다.
이같이 구취는 구강 내적인 요소에 의해 발생된다. 구강 내적인 면이 80~90%를 차지해 구취의 대부분은 구강문제로 발생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밖에 이비인후 부위나 체내 다른 부위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구강 내적인 요소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휘발성 황화합물이 구취의 주된 원인물질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휘발성 황화합물은 세균이 타액이나 음식 잔여물, 혈액의 황 성분을 함유하는 단백질과 아미노산을 분해하며 생성된다.
▲구취 치료
구취는 근본적인 치료를 요한다. 구취를 야기하는 치과적·내과적 각종 질병들을 치료하고 이와함께 금연, 규칙적이며 적절한 양치질을 통해 치유될 수 있다.
구취 치료는 치과에서하는 전문적인 치면 세균제거방법인 ‘치면 세마’와 가정에서 할 수 있는 구강관리를 병행해야 효과적이다. 치면세마는 치과에서 1~2주 간격으로 3~4회 정도 시술한다. 이 시술은 잇몸 깊숙한 부위의 세균제거방법인 ‘치은 하방 치면세마’ 과정이 동반되며 이들 방법은 가장 기본적이라할 수 있는 스켈링을 하고 진행된다.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잇솔질 방법은 누구나 할 수 있다. 보이지 않은 잇몸 깊숙한 곳을 잘 닦지않아 구취가 발생할 수 있다. 세균 덩어리가 잘 못된 잇솔질로 인해 방치돼 구취를 유발한다.
때문에 구취 치료와 함께 올바른 잇솔질 교육을 받고 이를 실천에 옮겨야 한다. 또 혀세정기이용 혀닦기, 치아 사이의 세균을 제거하는 치실이나 치간칫솔을 함께 사용하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