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사용이 급속히 대중화되면서 올해 카드 이용액이 카드 대란 이후 처음으로 500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일상생활에서 돈을 낼 때 카드로 결제하는 비중은 이미 사상 처음으로 60%대를 넘어섰다.
31일 여신금융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신용카드 이용액은 261조7천억원으로 전년 동기(239조1천억원)에 비해 10% 가까이 늘었다.
지난해 전체 카드 사용액이 493조8천억원이었는데 이 같은 신용카드 증가세가 지속할 경우 올해 500조원 돌파는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카드대란 전년인 2002년(622조원)에 이어 가장 많은 액수다.
1991년에 신용카드 사용액이 13조3천억원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불과 20년 만에 40배 가까이 급증한 셈이다. 신용카드 사용액은 2000년 224조9천억원으로 100조원을 처음 돌파한 이래 2007년 398조1천억원, 2008년 445조3천억원, 2009년 454조3천억원으로 매년 크게 늘어왔다.
이 같은 카드 사용액 증가는 카드 사용이 생활 깊숙이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 올해 상반기 민간최종소비지출(322조3천억원) 가운데 카드 사용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60.1%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60%대로 올라섰다.
최종생산물에 대한 가계의 소비지출을 뜻하는 민간최종소비지출에서 카드 사용액의 비중이 60%를 넘었다는 것은 총 100만원을 구매하면 60만원은 카드로 결제한다는 의미다.
카드 결제가 어려운 1천원 미만의 소액 지출이 민간최종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 이상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거의 모든 소비 활동에서 카드가 결제 수단으로 쓰이는 셈이다.
민간최종소비지출 대비 신용카드 사용액 비중은 1991년에는 5.6%에 불과했으며 1999년까지도 15%를 넘지 못했다. 하지만, 2005년 40.9%를 기점으로 2006년 43.4%, 2007년 45.5%, 2008년 49.7%, 2009년 52.8%, 2010년 57.0%로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