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명위원회를 열고 제3연륙교의 공식 명칭을 ‘청라하늘대교’로 최종 결정한 것과 관련, 영종시민단체가 무명 개통에도 국가의 판단에 맡기겠다는 심산이다.
영종시민단체는 17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제3연륙교 지명 결정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시 지명위의 청라하늘대교 명칭 의결 강행에 대해 백지화를 요구했다.
영종시민단체는 "제3연륙교가 영종 주민들이 수십 년 동안 겪어온 교통 단절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된 국가 SOC 사업"이라며 "영종 주민의 의견을 배제하고 청라 주민의 의견만 수용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시 지명위는 지난 7월 1차 심의회의에서 청라하늘대교로 결정을 내렸으나 중구·서구가 각 구의 지명이 포함된 ‘영종하늘대교’와 ‘청라대교’를 주장하며 재심의가 이뤄졌다.
그러나 시 지명위는 회의를 거쳐 지난 12일 당초 의결된 청라하늘대교로 최종 의결했다.
이에 중구는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국토교통부의 국가지명위원회로 명칭 설정 권한을 넘기겠다는 입장이다.
영종시민단체는 재심의를 거쳤음에도 같은 결정이 두 번 반복된 것에 공정성 문제를 제기하며 심의 당시 회의 내용과 심의위원들의 명단을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또 이번 결정이 시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중구(약 17만 명)보다 인구수가 많은 서구(약 65만 명)의 눈치를 본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영종시민단체는 사업비 분담 비율도 영종·청라 각각 3000억 원으로 동일하며, 연륙교 명칭은 ‘섬 중심 명명’이 원칙이고 제3연륙교의 이용주체 또한 영종 지역이라고 강조했다.
결국 영종시민단체는 지명위의 명칭 결정 서류가 중구로 넘어오는 즉시 국가지명위 절차를 중구청과 함께 밟겠다는 입장이다.
국가지명위로 명칭 선정 권한이 넘어갈 경우 제3연륙교의 개통 전 국가지명위가 개최된다는 보장이 없어 ‘무명’상태로 개통할 가능성이 높다.
김요한 영종국제도시총연합회 정책위원장은 “유정복 시장이 최근 제3연륙교 명칭과 관련해 무명으로 개통되선 안된다고 발언했는데 결국 청라하늘대교로 개통하겠다는 것 아니냐”며 “시가 제3연륙교의 지명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구와 주민간의 갈등을 유발시켰다”고 반발했다.
이어 “무명 대교로 개통하는 한이 있어도 국가지명위에 이의신청을 강행해 영종의 주체성을 담겠다”고 덧붙였다.
시 관계자는 “지명위 결과를 정리해 오는 19~20일쯤 중구와 국토부에 통보할 예정이다”며 “명칭에 청라 지명이 들어간 것 때문에 서구에 유리한 명칭이 결정됐다고 보일 수는 있으나, 양측의 의견을 공정하게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해명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지담 수습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