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579명 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와 직업’ 교과 채택한 학교는 26%로 평균치인 42%를 한참 밑돌았고, 진로활동실 설치율도 67%에 그쳐 50%를 기록한 서울과 함께 최하위 그룹에 속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일 전국의 진로진학 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를 대상으로 배치현황과 진로진학부장 보직률, 교과 선택률, 진로교사의 주당 평균 수업 시수, 진로활동실 설치율 등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기도는 전체 학교의 57%가 진로진학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국 평균인 55%보다 높은 배치율을 보였다. 또한 진로교육의 주당 수업시수는 9.4시간으로 평균치인 9.3시간보다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기도의 학교중 ‘진로와 진학’ 교과 채택률에서 전체 26%의 학교만이 채택하고 있어 제주(17%), 대구(19%)와 함께 하위권에 머물렀다.
진로활동실 설치율 역시 67%에 머물러 평균치인 71%를 밑돌았고,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진로진학부장교사로의 보직률도 69%로 전국 평균인 70%에 약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진로활동실 설치율이 낮은 것은 협소한 학교 공간 때문에 진로진학상담을 위한 전용 공간의 부재로 인한 결과”라며 “현재 대다수의 학교에서 다른 분야와 겸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진로진학상담교실을 단독 공간으로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진로와 진학’ 교과 채택률에 대해서는 “‘진로와 진학’교과가 선택과목이다 보니 편성하지 않는 학교가 있는것 같다”며 “2014년까지 모든 학교에서 ‘진로와 진학’교과를 편성할수 있도록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