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감선거 및 4·11 총선에서 특정업체와 버스광고를 집행해 물의를 빚은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가 제18대 대통령선거 광고와 관련해 또 다시 동일업체와 계약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다.
특히 도선관위는 버스광고 집행과정에서 서울 2곳 등 단 3곳의 견적만 받은 것으로 나타나 도내 업체의 참가를 사실상 막은게 아니냐는 지적과 함께 ‘관내 업체 죽이기’라는 비난마저 일고 있다.
25일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이하 도선관위)에 따르면 도선관위는 제18대 대선 관련 홍보예산 1억3천만원 중 3천500만원을 버스광고에 배정, 서울의 A사를 홍보대행사로 선정, 도내 운행 버스 110여대에 광고물을 부착해 홍보에 나섰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도내 버스광고업체들은 도선관위의 관내 업체 죽이기라며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다.
도내 업체들은 특히 “도선관위가 4·11총선 당시 업체 선정을 위해 도내 6곳에서 견적서를 받은 것과 달리 이번에는 A사 등 단 3곳의 견적만 받는 등 참가 자체를 아예 차단했다”며 “A사 밀어주기를 위한 노골적인 꼼수가 아니냐”는 지적이다.
B사 관계자는 “수천만원의 예산이 드는 사업을 입찰 공고도 없이 막무가내로 진행하는지 이해가 안간다”며 “도내 20곳 이상의 업체가 주요 노선을 확보해 운영중인데 굳이 일부 노선을 보유한 서울의 A사와 매번 계약을 하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C사 관계자는 “경기남부 주요 도시를 운행중인 2천여대의 버스보유 업체나 경기북부 1천여대의 우수노선 운영업체조차 이번 사업에 입찰 참여조차 못했다”며 “도선관위가 진행하는 사업에 도내 유수의 업체들은 참여조차 제한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도선관위 관계자는 “2천만원 이상 5천만원 이하 예산 소요 사업은 입찰공고없이 수의계약이 가능해 A사가 적합하다고 판단해 진행했다”며 “A사가 합리적 노선과 가격을 제시해 선정한 것일뿐, 일부러 도내 업체를 선정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