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의 한 오피스텔 관리단대표자협의회가 공개입찰이 아닌 수의계약으로 특정업체를 관리업체로 선정한 것으로 드러나 말썽을 빚고 있다.
특히 관리업체 선정 당시 입주민의 의견은 물론 관리규약상 절차까지 묵인한 채 독단적으로 관리업체 선정이 진행됐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입주민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11일 수원의 A오피스텔 관리단대표자협의회(이하 관리단)와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 등에 따르면 지난 2006년 12월 입주를 시작한 수원 인계동의 A오피스텔은 현재 356세대가 거주하고 있다.
이에 따라 A오피스텔 입주민들은 지난 2007년 관리단을 구성, 건물 등의 관리·사용에 필요사항과 소유자·사용자의 공동이익 증진, 쾌적한 거주환경 유지를 담은 관리규약을 제정했다.
그러나 최근 관리단이 지난 5년간 A오피스텔 관리를 맡아온 관리업체의 일방적인 변경을 주도하면서 주민들간 대립이 심해지고 있는 상태다.
또 관리업체 변경과정이 공개입찰이 아닌 수의계약으로 이뤄진데다 관리단의 독단적인 운영방식까지 불거지면서 비대위를 비롯한 입주민들의 불만이 극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이날 관리단에 의해 A오피스텔 관리업체로 선정된 B사가 용역까지 동원, A오피스텔 관리실과 입주민시설 등에 대한 접수에 나서면서 이를 막으려는 50여명의 비대위와 대치하는 일촉즉발의 상황까지 벌어졌다.
이날 B사와 비대위의 대치는 결국 관할 경찰서 경찰들이 출동, B사가 철수하면서 마무리됐다.
A오피스텔 한 입주민은 “입주민에게 관리비는 매달 받아가면서 어떻게 오피스텔의 운영과 관리사항 등에 대해선 입주민의 의사는 묻지도 않고 묵살하는지 모르겠다”며 “오피스텔 단지가 사유재산도 아니고 지금이라도 투명하게 모든 것을 공개하고, 관리단과 비대위의 대립도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안미선 비대위 위원장은 “2년전부터 B사와 현 관리단이 접촉하면서 총회개최 및 소송비용 등을 적극 지원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당연히 공개입찰을 통해 관리업체를 선정해야 되는데 어떻게 도움을 받았다고 B사를 수의계약으로 선정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김대은 관리단장은 “인터넷이나 언론 등을 통해 공개입찰로 관리업체를 선정한다면 수십여 업체가 지원할 것”이라며 “소수의 관리단 인원으로 수많은 업체를 선별에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해 단지 내 공문을 통해 공개입찰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이어 “B사 선정과정에서 금전적으로 지원을 받은 경우는 단 한 차례도 없다”며 “기존 관리업체와의 소송과정에서 선정된 B사가 그 비용을 대신 지불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