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3 (목)

  • 구름조금동두천 13.8℃
  • 맑음강릉 17.6℃
  • 구름조금서울 14.6℃
  • 맑음대전 14.5℃
  • 맑음대구 16.4℃
  • 맑음울산 15.3℃
  • 연무광주 15.7℃
  • 맑음부산 16.5℃
  • 맑음고창 14.5℃
  • 맑음제주 18.0℃
  • 맑음강화 13.1℃
  • 맑음보은 14.3℃
  • 구름조금금산 14.8℃
  • 맑음강진군 16.8℃
  • 맑음경주시 15.5℃
  • 맑음거제 11.1℃
기상청 제공

[기획] "한반도 지진 안전론,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2016 일본 후쿠시마 강진·2017 포항 강진 재조명
"지진 피해에 대한 대비, 후속조치보다 예방 필요"

 

한반도가 일본과 달리 지진에 비교적 안전하다는 통념이 흔들리고 있다. 2016년 경주 지진과 2017년 포항 지진에 이어, 일본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발생한 강진까지 연쇄적으로 드러나면서 ‘한반도 지진 안전지대’라는 인식은 근본부터 재검토돼야 한다. 전문가들은 지진 위험이 현실화하고 있는 만큼, 대응 전략을 사후 복구 중심에서 예방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 2016년 경주 이어 2017년 포항까지, 연이은 강진

 

2016년 11월 22일 오전 5시 59분(일본 표준시) 일본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규모 7.3 지진이 발생했다. 진원 깊이는 약 25km로, 최대 1.4m 수준의 쓰나미가 관측됐다.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2017년 11월 15일 오후 2시 29분(한국표준시)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약 7km에서 규모 5.4 지진이 발생했다. 본진에 앞서 규모 2.2, 2.6의 전진이 있었고, 본진 후에는 여러 차례 여진이 이어졌다. 포항 지진으로 예정된 수능 시험장 일부가 균열을 보였고, 여진이 지속되면서 시험은 1주일 연기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학계에서는 한반도에서 발생 가능한 지진 규모를 최대 6.5~7.0 정도로 보고 있다. 규모 7.0 지진은 2016년 경주 지진보다 위력이 60배 이상 강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 ‘지진 안전지대’라는 인식, 재고 필요

 

그동안 한반도는 판 경계에서 떨어진 지질 구조 덕분에 지진 위험이 낮다는 인식이 있었다. 일본과 달리 강진 빈도가 적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경주·포항 강진은 이러한 안전론에 균열을 냈다. 

 

후쿠시마 강진 역시 규모와 깊이, 쓰나미 가능성 측면에서 일본 대지진 수준은 아니었지만, 강력한 경고 신호로 작용했다. 이어진 국내 강진은 한반도 역시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줬다.

 

◇ 예방 중심 내진 설계, 정책적 지원 필요

 

현재 우리나라의 오래된 건축물 상당수는 내진 설계가 적용되지 않아, 강진 발생 시 막대한 인명 피해가 우려된다. 2016년 경주 지진 이후 건축법은 ‘2층 이상 또는 연면적 200㎡ 이상 건축물’에 내진 설계를 의무화했지만, 이전 건물에는 소급 적용되지 않아 내진율은 여전히 낮다.

 

전문가들은 법적 의무 대상이 아닌 건물에도 자발적 내진 설계를 장려할 수 있는 인센티브 제공, 지진경보 시스템 개선, 주민 교육 강화 등 정책적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포항 지진 이후 정부는 포항시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복구에 총력을 기울였지만, 반복되는 강진과 예상치 못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사후 복구’가 아닌 ‘사전 예방’ 전략이 필수적이다.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면, 정부와 학계, 시민사회가 함께 예방적 안전망 구축에 나서야 한다. 단순 관찰과 분석을 넘어, 지진으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는 현실적 대응책이 절실하다.

 

[ 경기신문 = 황민 인턴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