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3 (목)

  • 맑음동두천 15.5℃
  • 구름조금강릉 19.3℃
  • 구름조금서울 16.3℃
  • 맑음대전 16.6℃
  • 맑음대구 17.6℃
  • 맑음울산 17.2℃
  • 연무광주 17.3℃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6.2℃
  • 맑음제주 19.3℃
  • 구름조금강화 14.8℃
  • 맑음보은 15.4℃
  • 구름조금금산 16.3℃
  • 맑음강진군 18.3℃
  • 맑음경주시 17.2℃
  • 맑음거제 13.0℃
기상청 제공

경기도 덮친 '미분양'…연말 분양 폭탄에 시장 '빨간불'

중소건설사 단지 줄줄이 청약 미달
고금리·규제 여파에 수요심리 ‘꽁꽁’

 

고금리 장기화와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가 맞물리며 식어가던 주택 시장의 냉기가 경기도 전역으로 번지고 있다. 수도권 외곽까지 매수세가 얼어붙고 청약 경쟁률이 급락하면서, 중견·중소 건설사 단지를 중심으로 미분양이 빠르게 늘고 있다. 연말 대규모 신규 공급까지 예정돼 있어 ‘미분양 피크’ 재현 우려가 커지고 있다.

 

1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경기도의 미분양 주택은 1만 2656가구로 집계됐다. 한 달 전(1만 1857가구)보다 6.7%(799가구) 증가한 수치다. 전국 미분양 물량의 37%가 경기도에 몰려 있다.

 

특히 평택(3769가구), 김포(1873가구), 이천(1522가구), 양주(1376가구) 등 공급이 집중된 지역에서 미분양이 빠르게 쌓이고 있다. 분양가가 높아진 데다 금리 부담이 이어지면서 실수요자들의 청약 참여가 줄어든 탓이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분양가가 소득 수준을 뛰어넘고, 대출 금리 부담이 커지면서 무주택자조차 시장을 관망하는 분위기”라고 분석했다.

 

청약 시장의 한파도 뚜렷하다. 수원 ‘엘리프 한신더휴(D3블록)’, 김포 ‘해링턴플레이스 풍무(1·2·3BL)’, 용인 ‘클러스터용인 경남아너스빌’, 오산 ‘세교 우미 린 레이크시티’, 평택 ‘브레인시티 비스타동원’ 등 주요 단지에서 청약 미달이 속출했다. 일부 단지는 전체 물량의 절반 이상이 미달되며, 무순위(줍줍) 청약으로 전환된 곳도 있다.

 

청약 미달 단지의 상당수는 중견·중소 건설사 브랜드다. 이들 단지는 분양 일정이 지연되거나 미분양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커 시장 불안 요인으로 꼽힌다. 한 중소 건설사 관계자는 “브랜드 파워가 약한 단지는 계약률이 50%에도 못 미치는 경우가 많다”며 “자금 회수가 지연되면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상환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의 미분양 물량은 올해 초 1만 5135가구로 정점을 찍은 뒤 7월 1만 513가구까지 줄었지만, 8월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9월에도 800가구 가까이 늘며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미분양 감소세가 멈추고 다시 쌓이기 시작했다는 것은 시장 회복 신호가 꺼졌다는 의미”라고 진단한다.

 

문제는 연말이다.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10월부터 12월까지 수도권 일반분양 예정 물량은 3만 5098가구로, 이 중 70%에 달하는 2만 4682가구가 경기도에 집중돼 있다. 이미 얼어붙은 시장에 대규모 공급이 쏟아질 경우, ‘미분양 피크’가 다시 찾아올 가능성이 높다.

 

한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수요자들이 입지와 브랜드, 시공사 안정성을 꼼꼼히 따지면서 중소 건설사 단지가 먼저 타격을 받는 양상”이라며 “경기도를 중심으로 미분양이 해소되지 않으면 지방으로도 악영향이 확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내년 상반기까지 주택 시장의 냉각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본다. 정부의 규제 완화나 금리 인하가 본격화되지 않는 한, 실수요 중심의 제한적 거래만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