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야구 10구단으로 수원시를 연고로한 KT가 최종 확정된 가운데 KT의 10구단 창단 비용이 1천억원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KT는 10구단으로 확정되면서 야구발전기금과 가입금, 예치금으로 각각 200억원, 30억원, 100억원을 내기로 해 프로야구의 신규 회원으로 승인받는데 들인 비용만 330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2015년 1군 진입을 목표로 프런트 구성부터 선수 수급 등 단계적 준비에 들어가는 비용이 수백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9구단인 NC 다이노스는 80억원을 투자해 기존 8개 구단에서 보호선수 20인외 1명씩을 특별지명했고 자유계약(FA) 시장에서 이호준(전 SK)과 이현곤(전 KIA)을 각각 3년간 총액 20억원, 3년간 총액 10억5천만원에 데려왔으며 이들의 영입 대가로 전 소속팀에 올해 연봉 300%를 보상금(SK 7억5천만원, KIA 3억1천500만원)으로 지급해야 한다. 현재까지 특별지명과 FA에만 121억1천500만원이 들었다.
또 외국인 선수 3명에 대한 영입비용과 지난 두 차례의 신인 드래프트에서 선발한 A급 신인 선수들과의 계약금도 상당해 NC가 올해 1군 진입을 앞두고 선수 스카우트에만 들인 비용이 23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강력한 자본력을 갖춘 KT는 이보다 훨씬 과감한 투자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2014년 시즌 후에는 안지만·권오준·배영수(이상 삼성), 김상현(KIA), 김강민·박재상(이상 SK) 등 대어급 FA 선수들이 무더기로 시장에 나올 예정이어서 KT가 선수영입에 투자할 금액이 3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2014년 2군 리그에 참여하기 위한 2군 경기 비용으로 100억원, 2군 훈련장과 전용 구장, 숙소동, 실내 연습장을 만드는데 드는 비용 200억~250억원, 구단 전용 버스(3대) 구입비 6억원 등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프런트와 코치진 구성비용까지 더하면 줄잡아 초기 투자비용으로 600억원 정도가 들 전망이다.
KT의 야구발전기금과 가입금까지 포함하면 10구단 창단에 드는 비용은 최소한 1천억원에 육박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1군 무대에 데뷔하는 2015년까지는 수익 없이 계속 돈을 쏟아부어야는 KT가 2015년 1군 무대에서 어느 정도의 성적을 거둘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