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오는 2017년까지 도내에서 발생하는 생활쓰레기의 100% 자체 처리를 목표로 소각재, 일부 불연성쓰레기를 제외하고 전량 소각 또는 에너지화할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현재 도내에는 하루 5천130t 처리용량의 소각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평택·시흥시만 자체 처리시설없이 매립하고 있다.
도는 2017년까지 평택시에 생활폐기물전처리시설(MBT)을 건립하고, 시흥시가 소유하고 있는 사업장 쓰레기 소각시설을 생활쓰레기 처리까지 확대해 소각재와 일부 불연성쓰레기만 매립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도로환경감시단(3천500명), 도로 입양관리(791㎞), 클린누리 사업(700개소)을 확대해 무단 투기를 방지하고 나눔장터(80개소), 농촌지역 공동집하장(121개소) 등 취약지역 관리를 통해 미처리 폐기물의 매립을 줄일 방침이다.
이와 함께 ‘도민 1인당 쓰레기 100g 줄이기 운동’, ‘초록마을대학 운영 등 체험’, ‘봉사·학습이 결합된 환경가치 교육’ 등도 실시한다.
도 관계자는 “‘2018년 경기 새천년의 해‘를 맞아 자원순환 100%에 도전하는 것”이라며 “쓰레기 가치를 새로이 인식해 재활용과 재생이용을 확대하고 도민 100만명이 함께 참여하는 무단투기 근절과 취약지역 관리로 깨끗한 경기도를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