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6기 경기도정에 고위 공무원과 주요 공공기관장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도입하는 방안이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있다.▶관련기사 2면
야당 측의 제안으로 논의된 인사청문회 도입안을 두고 여당 측도 필요성에 대해 일단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야당 인사의 사회통합 부지사 영입에 이어 ‘남경필표’ 인사 정책의 두 번째 핵심 과제로 그 실현 여부가 주목된다.
남경필 경기도지사 당선인의 ‘연정’ 제안으로 꾸려진 ‘경기도 여야 정책협상단’은 18일 오후 국회에서 상견례를 가졌다. 이날 자리에서 새정치민주연합 김태년 경기도당 공동위원장은 도정 혁신을 위한 인사청문회 도입을 제안했다.
김 위원장은 의회의 역할을 강화하면서 여야 간 책임정치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고위 공무원과 주요 산하기관장에 대한 인사청문회 제도를 도입하자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남 당선인과 여당 측도 일단 도입 의미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반응이다.
이날 참석한 한 여당 측 인사는 청문회 도입 제안과 관련 “도입 의미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다. 다만 국회처럼 치부만 들어내고 일방적으로 몰아가는 청문회가 아닌 그 일에 합당한 사람인지, 또는 적정한지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만들어 도입해야 한다. 이 부분은 남 당선인도 공감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향후 경기도에 인사청문회 도입 여부가 여야 정책협상단을 통해 지속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점쳐진다.
반면, 야당 측의 김문수 지사의 재의요구 철회와 관련해서는 ‘예의가 아니다’라며 입장을 명확히 했다.
야당 측은 이날 인사청문회 제안 이외에 생활임금 도입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보육교사의 처우 개선 등을 논의 과제로 제시했다.
이와 관련 경기도의회 새정치연합은 지난 17일 남 당선인을 향해 ‘연정’을 위해서는 “생활임금 조례 등 민생과 직결된 조례에 대한 재의요구부터 철회하라”고 요구하고 나선 바 있다.
이에 여당 측은 “취임도 하지 않은 남 당선자가 나서서 김문수 지사가 결정한 사항을 바꾸는 것은 적절치 않을뿐더러 예의도 아니다”라며 “정책협상단에서 먼저 논의하는 게 옳더라도 취임 이후 결정할 일”이라고 일축했다.
한편 이날 자리에서 여야는 협상단에서 논의되는 향후 정책이 도의회의 견제와 감시라는 고유역할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의 문제가 논의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성민기자 h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