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연수구가 인천 최초로 민간 공유자전거 도입을 추진하고 나섰다.
구는 민간 공유자전거 최대 2천200대를 도입해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구는 올해 원도심 500대와 송도국제도시 500대 등을 시범 운영하고 운영성과 등을 검토해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구는 공유자전거 도입으로 연수구민의 자전거 이용 활성화는 물론 자전거가 가까운 거리의 교통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교통체증 해소는 물론 환경오염 감소, 주민들의 건강 증진 등 다양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구는 당초 공공자전거 도입을 추진하려 했지만 내부 검토 결과 자전거와 각종 시설비 등 8억 원이 넘게 필요한 데다 유지·관리를 위해 별도의 전문인력팀까지 꾸려야 해 포기했다.
일부 지자체가 도입했다가 큰 실효를 보지 못해 결국 사업을 접은 사례도 분석했다.
이번에 구가 추진하는 민간 공유자전거는 공유경제 측면에서 자전거를 함께 이용하는 취지의 공공자전거와 비슷하다.
다만 운영 측면에서 공공자전거는 지자체 예산으로, 공유자전거는 민간기업의 투자로 서비스가 이뤄진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또 공공자전거는 별도의 거치대와 대여시스템이 필요했지만 공유자전거는 자체에 잠금장치와 별도의 통신장비 등을 내장해 거치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국내에선 지난 해 말부터 서울 여의도 공원에서 시범운영 중이며 수원시가 올해부터 도입해 운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호 구청장은 “구는 자전거를 이용하기 좋은 최적의 도시다. 공유자전거가 도입되면 연수구지역에 자전거 이용이 활성화되고 향후 자동차 배기가스 등 탄소배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며 “앞으로 자전거 인프라를 확충해 더욱 활용도를 높이는 등 스마트한 녹색도시 연수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윤용해기자 yo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