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미디어산책] 미디어에 뉴노멀시대는 왔는가

 

8월 말 뉴욕타임즈가 지면에서 TV편성표를 없앴다. 81년만의 변화다.

 

뉴노멀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넘기면서 세계경제가 저금리,소비위축의 특성을 가진 저성장 국면에 접어든 경제현상을 말한다. 과거 고성장시대 경제질서(노멀)로 정책을 입안하면 경제는 방향성을 상실한다. 이미 새로운 질서 뉴노멀의 시대로 들어섰기 때문이다. 세계의 공장역할을 하며 고성장을 주도하던 중국도 ‘신창타이’를 받아들였다. 경제의 패러다임이 바뀐 것이다.

 

코로나는 경제를 넘어서 사회 각 분야를 뉴노멀의 시대로 전환시키고 있다. 여행산업은 몰락하고 온라인유통,배달시장은 대폭성장을 하였다. 화상회의가 일상화되고 재택근무가 현실화됐다. 학교수업은 온라인강의로 진행된다. 극장,공연산업이 급추락하고 넷플릭스 등 OTT는 더 큰 주목을 받았다. 우리기업의 수십 년간 전통인 그룹공채도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

 

이제 2020년 이후 세계는 경제만이 아니라 사회 각 분야가 새로운 기준, 가치체계로 변화된 뉴노멀의 시대로 들어섰다. 4차 산업으로 촉발된 변화가 코로나로 가속화되면서 사회시스템이 변화하고 그에 따른 가치의 변화가 뒤따르고 있다.

 

30년 전에는 유력신문 마다 연재소설과 만화가 게재되었고 낱말퀴즈도 있었다. 신춘문예는 문학도의 등단길 이었다. 1968년 동아일보에는 김광주의 ‘비호’라는 무협소설마저 연재되어 인기를 끌었다. 신문의 엔터테인먼트 기능이다. 언젠가부터 자연스럽게 사라졌고 아무도 이를 의아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나 지금의 변화는 이처럼 긴 시간을 두고 자연스럽게 오지 않는다. 시대의 속도 만큼이나 빠르게 훅 다가온다. 방송미디어는 뉴노멀의 시대로 이미 들어섰다. IT 와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결합에 의해 플랫폼 개념이 등장하였고 다변화된 미디어생태계는 유튜브와 OTT 가 급성장하면서 방송이라는 구개념을 벗어 던졌다. 소비자도 이러한 변화를 기꺼이 받아들이고 있다. 오직 과거의 ‘노멀’이었던 지상파방송만이 이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지상파방송의 도입철학인 공영과 공익이 이 극심한 변화 상황을 헤쳐나가는데 등 기댈 언덕이자 족쇄가 되고있는 것 처럼 보인다.

 

온라인미디어도 마찬가지다. 검색플랫폼은 영역 확대로 영상다운로드서비스, 스포츠 실시간 스트리밍, 웹툰,게임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의 장터로 진화하였다. 이에 비해 신문기업의 뉴노멀은 아직 오지 않았다. 열독율의 현격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신문미디어의 광고매출은 방송미디어와는 달리 급격히 추락하지 않고 있다. 방송의 광고단가는 시청률이라는 척도에 따라 시장원리가 작동하는 반면에 신문광고는 열독율과 약간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별도로 움직이고 있다. 독하게 말하면 보험상품의 성격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어떤 의미에서 신문에게 중요한 독자는 일반 구독자가 아니라 기업,정부,자치단체,정치인 등 결정권을 가진 소수인 것이다.

 

신문생존의 프레임인 현재의 기준과 가치도 다른 미디어와 마찬가지로 뉴노멀의 시대로 전환되면서 급변할 것이다. 시간의 문제다.

 

신문기업 자신이 풀어갈 뉴노멀 시대의 생존법은 무엇일까?

 

2010년 8월 세계2대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부채인수 조건으로 단돈 1달러에 매각되었고 또 그마저도 재매각되었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신문기업 앞에 닥친 뉴노멀의 시대는 무섭기까지 하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