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미디어산책] 균형깨진 신문보도의 프레임짜기

월간칼럼이라 뒷북을 칠수 밖에 없다. 그래도 꼭 필요하다 생각하여 이번 칼럼은 대학입시 기회균형전형에 대한 신문의 보도프레임을 말하고자 한다. 교육위 국정감사 시 야당 국회의원의 “민주화운동 전형 특혜” 라는 주장에 대한 많은 신문보도에는 하나의 틀(프레임)이 있었다. 제목에서부터 ‘불공정시비’, ‘부모찬스된민주화운동 전형’ 등 이미 기울어진 시각이 나타난다.

 

국회에서는 사안의 옳고 그름을 떠나 내게 유리한 부분만 골라 정치적 이슈제기를 하고 정쟁을 목적으로 한 질의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지 않지만 그게 정치이기 때문이다. 신문은, 언론은 존재의미가 다르다. 정치의 부속품이나 이용도구가 아니다. 오히려 정치의 감시자다.

 

국정감사결과를 객관보도 한다고 그대로 옮겨 전재하면서 자신의 입장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것은 객관을 빙자한 불균형이자 불공정이다. 객관과 공정, 균형은 상치될 수 있다. 국회의원은 면책특권을 이용해 “아니면 말고”지만 신문은 어떤 권한으로 자사의 진영논리로 여론몰이를 하는가? 불공정 보도한다고, 보는사람 줄었다고 공영방송 KBS 수신료 가치를 비난하면서 신문 스스로에게는 사기업이라는 말로 면죄부를 행사하는 건 아닌지? 반대측의 진영논리를 개탄하면서 그 선봉에서 진지구축을 하는 보도 태도는 사회통합과 발전에 어떤 기여가 되는지 되돌아봐야 한다.

 

언론으로서 직업윤리가 투철하다면 먼저 대학입학 수시전형에 대하여 확인해야지 국회의원실에서 배포한 자료를 그대로 전재하지는 않을 것이다. 민주화운동으로 인한 사망, 행불, 부상이라 정부가 인정한 사람들의 자녀가 기회균형 대입전형의 한 범주로 농어촌학생,기초생활수급자 자녀,다문화가족 자녀,한부모 가족 자녀 등과 같이 사회적 배려 대상으로 대학입시를 치루는 것이다.

 

경제활동 위축에 따른 교육기회의 축소 측면에서 경쟁이 가능하도록 기회제공을 하는 수시입학의 한 전형방법이고 정부가 아니라 대학이 자율적으로 진행하는 입시이다. 필요하다고 판단한 일부 대학에만 있는 전형일 뿐이다.

 

여당이 싫다고 민주화운동이란 단어만을 부각하여 정쟁의 요소로 삼는데 신문이 같이 편승한다면 그에 해당하는 학생들에 대한 인격 살인이다. 기회균형 전형 중 하나인 선교사자녀 특별전형에 대해 다른 종교계가 뭐라 한다면, 농어촌전형에 대해 도시학생이 역차별이라 이의제기 한다면 신문은 뭐라 할 것인가? 입시제도를 제대로 살피지도 않고 국회의원 배포자료를 전재하는 것은 어느 진영이냐가 균형,공정 보다 더 중요한 기사작성 기준이라 오인받게 만들 수 있다. 더군다나 그 전형이 만들어진 것이 MB정부 때인걸 알고나 썼을까?

 

기사제목만 보면 민주화운동은긍정적 가치로 평가받기 어렵다는 느낌마저 든다. 사회적 의제 설정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신문이 이러한 프레임 짜기에 과몰입 한다면 많지도 않은 젊은 독자들 마저 떠나게 된다. 보수 유튜브 논객들이 자신의 돈벌이에 활용하는 신문으로 남을 것인가 생각해봐야 한다.

 

공론의 장에서 사회적 의제 설정이나 논의의 합리성이 담보되기 위해서는 언론의 역할이 절대적이다. 국감장을 시민사회로 옮겨놓는 것은 언론의 직무유기다. 보수성향 신문들의 국제,사회,문화기사는 기획능력도 기사수준도 매우 좋다. 유독 정치기사만 진영논리에 함몰되어 건강한 공론의장을 만들지 못하는게 안타까울 뿐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