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18 (목)

  • 흐림동두천 22.7℃
  • 흐림강릉 28.4℃
  • 서울 23.2℃
  • 흐림대전 27.6℃
  • 흐림대구 28.0℃
  • 흐림울산 26.5℃
  • 흐림광주 27.0℃
  • 부산 25.0℃
  • 흐림고창 28.4℃
  • 흐림제주 30.5℃
  • 흐림강화 23.0℃
  • 흐림보은 26.5℃
  • 흐림금산 27.6℃
  • 흐림강진군 27.2℃
  • 흐림경주시 27.2℃
  • 흐림거제 25.7℃
기상청 제공

한국 미래차 산업…국가 경제 기틀 위해 ‘확장’보다 ‘혁신’

“선도형 경제”·“국가전략산업” 자동차 산업 중요도↑
코로나19에도 자동차는 호조...친환경차 시장 확대돼
美·中 경쟁, 미래차 시장까지...인프라 구축 필요성도
“미래차 ‘전국시대’...정부, R&D투자·규제혁파 해야”

 

제18회 ‘자동차의 날’을 앞두고 한국 미래차 산업이 확장만큼 혁신에 앞장서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온다.

 

지난 1999년 5월 12일 한국 자동차 수출 1000만대 돌파를 기념하고자 지정된 ‘자동차의 날’은 이제는 한국 자동차 산업의 청사진을 설명하는 주요 기념일로 자리 잡혔다.

 

이와 관련 정부도 내연기관 자동차 시대에서 전기·수소 등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미래차 산업 흐름에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자동차의 날 축사에서 “미래차 등 3대 신산업은 선도형 경제로의 도약 및 미래 먹거리 창출의 첨병이 될 것”이라며 미래차 지원을 약속했다.

 

또 지난 10일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4주년 특별연설에서 자동차 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지정해, 정부 주도 하에 전폭적인 지원을 할 것이라 강조했다.

 

이는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자율주행-미래차로의 자동차 산업 전환이란 세계적인 흐름, 코로나19 경제위기로 인한 핵심 산업 자급화가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 때문이다.

 

한국의 대표 자동차 수출국인 미국도 코로나19로 심화 된 일자리 부족 문제 해결과 자동차 산업 주도권 회복이란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기 위해, 현대차·기아에 미국 내 투자까지 권유하는 상황이다.

 

코로나19 확산에도 한국의 자동차 산업은 호조 일로다. 지난달 13일 산업통상자원부 발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자동차 산업은 전년 같은기간 대비 생산·내수·수출 모두 각각 12%, 11.3%, 16.9%씩 증가했다. 특히 2019년 7.2%(2만9768대)이던 친환경차 내수판매 비중이 올해 1분기 들어 15.9%(6만8546대)로 증가하는 등, 친환경차 시장 또한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다만 변수도 존재한다. 미·중 양국 간 국제 패권 경쟁에 반도체와 함께 미래차 산업이 주요 전장으로 재편되면서, 한국의 시장 내 입지 확보 난이도 또한 높아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기차 개발 완성도 만큼 전기차 인프라 구축 또한 비례할 필요가 있다는 미비점도 지적된다.

 

전문가는 한국 미래차 산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자동차 산업 발전의 가속화를 위한 정부 보조도 동시에 이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국내 자동차 산업과 미래차 부문 경쟁력은 상당히 높아졌다. 수소·전기차의 경우 충전소 국산화가 조금 떨어지나, 산업 부문에 있어선 이미 세계 최고 수준으로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전기차 산업과 관련해 김 교수는 “올해 현대차그룹을 중심으로 전기차 전용 플랫폼이 나오는 등, 전기차 수준은 글로벌 선도 그룹에 진입했다고 말할 수 있다”면서 “반면 자율주행차 쪽은 선진국 대비 3~4년 정도 뒤쳐져있다. 융합적 모델이란 미래 모빌리티 측면을 볼 때 이 부분에도 매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문 대통령의 자동차 산업 지원 발언이 갖는 무게감도 강조했다. 그는 “친환경차 보급, 미래차 먹거리 산업을 통한 주도권 확보는 정부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을 국가 경제의 기틀로 다지겠다는 것을 재강조하는 것이자, 춘추전국시대인 미래 모빌리티 시장의 현황을 의미한다. 수소·전기차, 자율주행차를 섞은 공유모델이 바로 미래 비즈니스 모델”이라 해석했다.

 

한국 자동차 산업 확장의 역점으로 김 교수는 ‘규제 혁파’를 지적했다. 그는 “자동차 산업은 다음 정권에도 국가경제의 기틀이 된다. 부품산업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하면 일자리·먹거리 창출 등 양대 축의 하나가 자동차 산업”이라며 “정부가 나서서 R&D 투자 활성화 및 규제 일변도를 혁파하는 것이 (한국 자동차 산업 성장의) 관건”이라 설명했다.

 

 

[ 경기신문 = 현지용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