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최영묵의 미디어깨기] 진보종편의 ‘의미’

 

제20대 대선 후 일각에서 ‘진보종편’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지난 2012년 19대 대선이 끝났을 때도 MB정권에 장악되었던 공영방송과 종편의 공정성 문제가 제기되었고, 그 결과 2013년 3월 미디어협동조합 국민TV가 출범하기도 했다.

 

볼일이 있어 동네를 돌아다니다 보면 낮이나 밤이나 채널A, TV조선과 같은 종합편성채널을 틀어놓은 가게들을 흔히 불 수 있다. 조중동의 수구적 논조와 정파상업주의를 그대로 방송에 옮겨놓은 것이 종합편성채널(종편)이다.

 

종편은 지난 2010년 MB정권이 당시 발행부수 1~4위를 차지하고 있는 기득권 신문사에게 ‘선물’로 준 방송국이다. 국회 본회의장 폐쇄라는 초강수를 두면서, 헌재의 결정을 무력화하면서까지 신문방송 겸영을 밀어붙였다. 미디어산업 경쟁력 강화, 일자리 창출, 여론다양성 확대를 이유로 들었다. 지난 10년을 돌아보면 국내미디어 산업은 글로벌OTT의 콘텐츠 공급기지가 되었고, 미디어 여론시장은 급격하게 양극화되었다.

 

그럼에도 종편은 시청률과 매출액 등 모든 면에서 ‘눈부시게’ 성장했다. 2012년 출범하던 해 종편4사의 시청률은 2.5%에 불과했으나 2020년 10%를 돌파해 네 배나 성장했다. 매출액도 2012년 2264억원에서 9078억 원으로 네 배 이상 증가하여 모기업인 신문사 매출액과 비슷해졌다. 같은 기간 지상파방송(KBS MBC SBS 등) 시청률은 거의 반토막났고, 매출액은 3000억 원 이상 줄었다.

 

이렇게 종편이 급성장하며 자리 잡을 수 있었던 것은 유리한 채널번호, 광고 직접 영업과 광고 금지품목 완화, 프로그램 편성규제 완화, 방송발전기금 징수 유예 등과 같은 정부의 특혜와 모기업인 신문사를 배경으로 한 ‘약탈적’ 광고영업과 무관하지 않다. 물론 신문과 방송의 시너지를 살린 정파상업주의 저널리즘과 저비용·저품질 프로그램이 결정적이었다.

 

종편의 편향성과 편재성, 영향력을 상쇄하기 위해서 ‘진보종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올만하다. 하지만 진보종편 설립은 불가능해 보인다. 우선 종편은 방송통신위원회의 허가사업자다. 방통위가 허가할만한 정책적 근거가 있어야 한다. 둘째, 엄청난 자본이 필요하다. 2010년 종편이 출범할 때 사업자에게 요구한 최소자본금이 3000억 원이었다. 당시 조중동과 같은 거대 언론사도 자본조달에 어려움을 겪었다. 매경의 MBN은 허가 당시 자본금을 채우기 위해 600억 원을 차명으로 대출받아 허위 재무재표를 작성했다가 발각되기도 했다.

 

그렇다고 지금 시점에서 ‘진보종편’을 논의하는 것이 무의미한 것은 아니다. ‘진보종편’이라는 말 자체가 종편의 ‘보수성’에 대한 문제 제기와 새로운 진보매체에 대한 고민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가령 ‘한겨레TV’ ‘오마이TV’ ‘뉴스타파’ ‘열린공감TV’ 등과 같은 진보 인터넷미디어들이 어떻게 정보를 공유하고 협업하며 연대할 수 있을까? 혹은 시민방송 RTV를 시민사회 미디어 플랫폼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문제 등에 대한 논의는 필요하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