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구름많음동두천 23.7℃
  • 구름많음강릉 22.0℃
  • 구름조금서울 23.8℃
  • 구름많음대전 23.7℃
  • 흐림대구 26.4℃
  • 흐림울산 24.9℃
  • 구름많음광주 23.9℃
  • 부산 23.0℃
  • 구름많음고창 22.9℃
  • 흐림제주 26.0℃
  • 맑음강화 22.3℃
  • 구름많음보은 23.3℃
  • 흐림금산 23.5℃
  • 흐림강진군 23.8℃
  • 흐림경주시 26.1℃
  • 흐림거제 23.4℃
기상청 제공

이복현 금감원장 "다음 달 중으로 공매도 일부 재개 추진"

"한계기업 증시 퇴출, 밸류업과 연계 부적절"
"횡재세, 위헌요소 있어…은행 공적기능 차단"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공매도를 다음 달 중으로 일부 재개하겠다는 의사를 드러냈다. 또한 증시에서 한계기업의 퇴출은 필요하지만 이를 정부가 추진하는 밸류업 프로그램과 연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도 했다. 야권에서 추진 중인 '횡재세'에 대해서는 '나쁜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이 원장은 지난 16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 콘래드 다운타운 호텔에서 열린 ‘인베스트 K-파이낸스’ 투자설명회(IR) 직후 기자들과 만나 “개인적인 욕심이나 계획은 6월 중 공매도 일부 재개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각 기관투자자의 공매도 잔고 시스템을 거래소에 모으는 집중관리 시스템은 구축하는 데 기술적으로 시간이 소요되고, 법률상으로도 쟁점이 있다”며 “현재 법 개정 없이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으로 개인적인 계획은 6월 중으로 공매도를 일부 재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6월 재개와 관련해 기술적·제도적 미비점이 있더라도 이해관계자 의견을 들어 어떤 타임 프레임으로 재개를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시장과 소통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 원장은 한계기업 상장사의 증시 퇴출이 필요하지만, 정부가 추진하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과 이를 연계하는 시각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냈다. 그는 “(증시에) 들어오는 기업에 비해 나가는 기업의 숫자가 거의 없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라며 “이런 환경을 바꿀 필요는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기업을 퇴출 지표로 삼을 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상법 개정 논의와 관련해선 주주에 대한 이사의 충실 의무가 도입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개인 의견으로 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 의무는 무조건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국회 논의를 거쳐야 하겠지만, 정부가 기업과 자본시장 레벨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 논의가 공론화조차 하지 않으면 밸류업에 대한 정부 의지를 의심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밸류업 프로그램을 통한 기업 인센티브와 관련해 세제개편의 가능성도 내비쳤다. 이 원장은 "세제개편은 금감원장의 권한도 아니고 기획재정부와 국회, 나아가 여론수렴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정부가 가업승계나 기업 상속세와 관련해 고민하고 있는 입법적 측면의 축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수 창업세대들의 은퇴시기가 가까워져 있고 기업 M&A(인수합병)가 모든 해결책이 아니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승계를 위한 마찰을 국가가 줄여주는 길을 만들어 영속기업 환경을 조성하자는 진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주가연계증권(ELS) 판매 규제와 관련해서는 "은행의 위험자산 판매를 금지하는 의견을 포함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 중이며, 금융위원회를 중심으로 태스크포스(TF)를 통해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연착륙 방안과 관련해서는 “1년 반 이상 손실 인식이 이연된 상황이다 보니 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하든, 매각하든 지금 현 상황을 그대로 유지하지 않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어 “(당국이) 보유 자산을 헐값에 팔라고 강요한다고 얘기하는데, 이는 자신들이 원하는 가격으로는 자산이 시장에서 팔리지 않는다는 것이고 이는 곧 자신들이 생각하는 가격이 시장가치가 아니라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등 야권이 추진 중인 ‘횡재세’에 대해선 비판 의견을 냈다. 이 원장은 “횡재세는 경제적으로 말이 안 되는 것”이라며 “횡재세가 도입되면 은행들은 이를 피하기 위한 회계 방식을 택할 가능성이 크고, 이는 과거 수십 년간 일관되게 이어져 온, 예측 가능했던 은행 행태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만약 특정시기에 은행이 이익을 많이 냈다고 사회에 공헌을 해야 한다는 여론이 많다면 그것은 은행법이 가진 공적 산업적 특성 내에서 시장적 관점으로 상생금융이나 자영업자를 돕는 수준이 돼야 할 것"이라며 "횡재세 자체의 발상이 나쁜 것이고 그걸 억지로 시행한다면 은행들의 세금 회피 행태를 일으켜 수십년 동안 쌓은 은행 경영철학을 왜곡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