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9 (월)

  • 구름많음동두천 26.2℃
  • 구름많음강릉 30.5℃
  • 흐림서울 27.3℃
  • 구름많음대전 26.9℃
  • 맑음대구 27.2℃
  • 맑음울산 28.0℃
  • 흐림광주 26.9℃
  • 구름조금부산 27.1℃
  • 맑음고창 27.5℃
  • 맑음제주 27.1℃
  • 흐림강화 26.3℃
  • 흐림보은 26.0℃
  • 맑음금산 26.3℃
  • 맑음강진군 26.3℃
  • 맑음경주시 28.6℃
  • 맑음거제 27.0℃
기상청 제공

[주필칼럼] 올림픽의 민주화는 아직도 멀다

 

파리 올림픽. 지난 금요일 드디어 막이 올랐다. 흩날리는 빗속에서 센 강의 다리 위를 수놓은 프랑스 삼색기와 축구선수 지단이 아이에게 건넨 올림픽 성화, 셀린 디옹이 부른 ‘사랑의 찬가’는 감동 그 자체였다. 레이디 가가의 파리 ‘리도쇼’와 아야 나카무라의 ‘자자’와 ‘푸키’ 메들리는 첨단쇼를 연상케 했다.

 

전 세계에서 10억 명이 지켜본 이번 올림픽 개막식에서 가장 이색적인 장면은 아마도 배를 타고 등장한 각국 선수단 이었을 것이다. 이 선수단은 남녀가 비슷한 비율로 섞여 있어 올림픽의 민주화가 진전되고 있음을 감지케 했다. 1900년 제2회 파리 올림픽이 열렸을 때 출전한 여자 선수는 2%에 불과했다. 총 997명의 선수 중 22명의 여성은 테니스, 요트, 크로켓, 승마, 골프, 5개 종목에 출전했다. 이 중 골프와 테니스만 여성 전용 종목이었다. 올림픽 헌장에는 “IOC(국제올림픽위원회)의 역할은 남녀평등의 원칙을 구현하기 위해 모든 수준에서 여성의 진흥을 장려하고 지원하는 것”이라고 명시돼 있다. 그런데 이 실천은 아직도 요원하다.

 

올림픽에서 여자 선수 비율이 30%를 넘는 데는 약 100년이 걸렸다. IOC는 지난 20여 년 동안 국제연맹 및 올림픽 조직위원회와 협력해 올림픽에서 여성 종목의 수를 늘리기 위해 노력해 왔다. 2012년 여자 복싱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추가되면서 그해 열린 런던 올림픽은 모든 종목에 여성이 출전한 최초의 대회였다. 2016년 리우 올림픽에서는 참가 선수의 45%가 여성이었다. 이 비율은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48.9%로 증가해 가장 성 평등한 대회가 됐다. 이처럼 올림픽에는 또 다른 이야기, 즉 성차별의 역사가 숨겨져 있다.

 

인류의 평화를 기원하는 올림픽이 왜 차등의 역사로 범벅된 것일까? 올림픽의 창시자 쿠베르탱 남작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그는 1912년 6월, 눈 하나 깜짝 않고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올림픽은 남성들을 위한 대회여야 하며, 여성의 박수와 (…) 남성 스포츠의 엄숙하고 주기적인 고양을 계속 추구해야 한다.”

 

사회학자 루보(Catherine Louveau)에 따르면, 쿠베르탱은 여성을 “남성의 동반자이자 가족의 어머니가 되는 것”으로 제한해 생각했다. 물론 이 남작이 살았던 19세기 후반은 시대적으로 남성지배 체제였다. 그렇다 쳐도 그 시대에도 진보적인 남성들은 존재했건만 쿠베르탱은 그러지 못한 모양이다. 올림픽 초기에 그가 만든 문화는 쉽게 변하지 못하고 있다. 물론 올림픽 출전 선수들의 남녀비율이 동수가 된 것은 장족의 발전이다. 하지만 이 숫자의 평등 뒤에 가려진 얼룩은 어찌할 것인가. 루보는 “평등은 남성처럼 대우받는 것을 의미하는데, 스포츠 분야에서는 이와 거리가 멀다. 여전히 남성이 지배하는 관리 체제이고 출신에 관한 불평등도 지속되고 있다.”라고 지적한다. 그녀의 말에 크게 공감한다. 지금껏 여성 IOC 위원장을 본 적이 있던가. 여성은 차치하고 아시아나 아프리카 출신의 위원장을 본 적도 없지 않은가. IOC는 이 차등의 역사를 언제 개선할 것인가? 개막식을 보며 던져보는 질문이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