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진 성남시장이 9일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경기남부광역철도 관련 도민 청원 답변에 대해 강하게 반박하며, 경기도가 경기남부광역철도를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했다.
신 시장은 “김동연 지사가 특정 노선이 아닌 도민 모두의 이익을 고려했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GTX 플러스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며 “사업의 경제성과 수혜자 규모를 비교하면 경기남부광역철도가 더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신 시장이 주장하는 경기남부광역철도는 서울 잠실에서 성남, 용인, 수원, 화성을 잇는 총연장 50.7km 노선으로, 약 138만 명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용 대비 편익(BC) 값도 1.20으로 경제성이 입증됐다. 성남시는 ": 김 지사의 GTX 플러스 사업은 약 49만 명 수혜를 예상함에도 BC 값이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덧붙였다.
신 시장은 “경기도가 시군과의 협력과 소통을 강화하고, 경기남부광역철도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될 수 있도록 책임 있는 자세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공약사업에만 치중하지 말고, 교통복지와 균형발전을 위해 경기남부광역철도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기남부광역철도는 단순한 교통편의 개선을 넘어 경기남부 4개 도시의 첨단산업 허브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대해 신 시장은 “철도망 구축이 지역 경제와 산업 발전을 이끌 초석이 될 것”이라며 “성남시는 경기남부광역철도가 올해 승인·고시될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1만 명이 넘는 도민이 경기남부광역철도 우선 추진을 요구하는 청원을 제출했으며, 이에 김 지사는 지난 6일 공식 답변을 통해 교통복지와 균형발전을 강조했다. 그런에도 신 시장은 “경기도가 실질적인 협력 없이 형식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보다 구체적이고 실행력 있는 대응을 요구했다.
경기남부광역철도는 첨단산업 발전과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으며, 성남시를 비롯한 경기남부 도시들이 추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 경기신문 = 김정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