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20.9℃
  • 구름많음강릉 25.0℃
  • 맑음서울 19.0℃
  • 구름많음대전 21.2℃
  • 구름많음대구 25.3℃
  • 구름조금울산 22.4℃
  • 구름조금광주 22.3℃
  • 맑음부산 17.9℃
  • 맑음고창 17.6℃
  • 구름많음제주 19.0℃
  • 맑음강화 15.5℃
  • 구름조금보은 22.0℃
  • 구름조금금산 21.1℃
  • 구름조금강진군 23.5℃
  • 맑음경주시 26.5℃
  • 구름조금거제 19.4℃
기상청 제공

이복현 "홈플러스·MBK, 회생 책임 회피…이해관계자에 희생 전가"

금감원장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
"이사회·주주가 경영실패 책임 져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이른바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홈플러스와 대주주인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MBK)를 강도 높게 비판하며 “책임 있는 자세로 사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24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에서 “홈플러스와 MBK 측이 납품업체, 임대인, 채권자 등 이해관계자에게 일방적인 희생을 요구하면서, 정작 자신들의 경영 실패에 대한 책임은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법원의 회생절차 진행은 존중돼야 하며, 채권자들이 자율적으로 회생계획안에 동의하는 것은 사회적 합의의 과정”이라면서도 “홈플러스와 MBK가 회생 신청 이후 보여준 행태는 채무자와 채권자 간 주객이 전도된 모습”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 원장은 납품업체에 대한 상거래 채권을 정상적으로 변제하겠다고 수차례 발표하고도 여전히 변제가 지연되고 있으며, 3월부터는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감액을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 전액 변제 역시 다른 채권자들의 동의나 법원 허가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정작 대주주의 추가 출자나 주식 소각 등 책임 있는 자구책은 언급조차 없다”고 비판했다.

 

MBK 측이 금융기관에 협조를 요청한 데 대해서도 이 원장은 “금융당국은 금융기관의 독립적 판단에 개입할 수 없다”며 “이런 부적절한 요청은 ‘이익은 사유화, 손실은 공유’하는 왜곡된 구조의 단초가 될 수 있다”고 선을 그었다.

 

이 원장은 “경영 실패의 책임은 이사회와 주주에게 있으며, 채권자들의 양보가 정당화되려면 주주가 감당해야 할 책임이 먼저 설득돼야 한다”며 “이것이 회생절차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또 “5~6월까지 홈플러스와 MBK가 시간을 지연할 경우, 채권자들이 오히려 회생 지연의 책임을 뒤집어쓰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홈플러스와 MBK 경영진이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이를 숨긴 채 단기 채권(ABSTB 등)을 발행한 정황에 대해 지난 21일 증권선물위원회를 통해 검찰에 패스트트랙으로 통보했다.

 

이 원장은 “홈플러스와 MBK 측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방대한 자료 분석 결과 사전 인지 및 회생 신청 계획의 구체적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최소 다음 달까지 전담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며 검찰 수사에 협조하는 한편, 홈플러스 회계 감리와 MBK에 대한 검사 등을 통해 불법 의혹을 지속적으로 규명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원장은 끝으로 “소상공인, 납품업체, 투자자 등 피해자 보호를 위해 관계 부처와 협업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 시점부터라도 이해관계자들의 진심 어린 양보와 이해를 구하는 자세로 실효성 있는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