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학박물관이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참여적 박물관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 성과인 '지역 연계 확산 강화 방안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연구는 조안면과 양서면을 중심으로 박물관과 지역이 어떻게 연결되고 협력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 실험한 과정이다.
2024년 10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약 6개월간 실학박물관은 농업, 예술, 교육, 먹거리 등 다양한 분야의 주민과 활동가 30여 명 인터뷰와 라운드테이블, 네트워크파티, 시범사업 등을 운영하며 문화 협력 모델을 구체화했다.
지난 1월 열린 네트워크파티에는 농부, 예술가, 활동가, 유관기관 종사자 등 50여 명이 참여해 지역 먹거리, 예술, 교육을 주제로 그룹 토의를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실학박물관이 지역 네트워크의 중심이 되길 바란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어진 라운드테이블에서는 교육, 예술, 먹거리·농업 등 세 분야로 나뉘어 실질적 협업 방안이 논의됐다. 교육 분야에서는 박물관 정원을 활용한 야외 모험놀이터, 실학 기반 원데이클래스가 제안, 예술 분야에서는 지역 이야기를 소재로 한 문화상품 개발, 그림책 및 게임 제작 아이디어가 나왔다. 농업 분야에서는 제철 채소와 유기농 식품을 알리는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 논의는 3월 12일 양평청년공간 딴딴회관에서 열린 '실·실·실 프로젝트(실학·실천·실험) 상상모임'으로 이어졌다. 30여 명의 활동가가 참여해 실학박물관의 지원을 받아 실행하고 싶은 실험 프로젝트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연구 결과는 실학박물관 누리집에서 전자책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행사의 기록 영상은 유튜브 채널에서 볼 수 있다.
김필국 실학박물관장은 "실학박물관이 주민들의 삶에 귀 기울이며 함께 실험하고 변화에 기여하는 문화공간이 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실학정신을 바탕으로 공공박물관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실학박물관은 올해 본격적인 '실·실·실 프로젝트' 운영과 함께 지역 협력 사업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경기신문 = 류초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