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출산 가능 공간 없는 인천의료원…분만시설 확충도 예산 부담에 ‘제동’

인천의료원 산부인과, 분만시설 없어 출산 불가능
인천시, 올해부터 분만 가능 의료기관 강화 계획
천문학적 예산 필요에 난항…중장기 계획으로 변경

 

인천지역 공공의료가 열악한 환경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인천의료원에는 산부인과가 운영되고 있지만 정작 분만실 등 관련시설이 없어 반쪽짜리 기능에 그치고 있다.

 

7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의료원 산부인과는 검사·진료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출산을 위한 인프라가 갖춰져 있지 않아 비뇨기·갱년기장애 등 여성 건강에 관한 예방·진료만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인천시는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인천의료원을 분만 가능 의료기관으로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특히 길어지는 의정갈등 속에 인천에서조차 산모가 병원을 찾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자 필수 공공의료 서비스 제공 필요성이 더 커졌다.

 

앞서 지난 3월 인천국제공항에서 쓰러진 베트남 임산부가 2시간 넘게 산부인과를 찾지 못해 구급차에서 출산한 바 있다.

 

인천시는 올해 출산 가능 시설 확충을 위한 연구용역에 착수한 뒤 2027년 분만실 기능 보강 사업을 진행해 2028년부터 본격적인 시행에 나설 계획이었다.

 

하지만 첫 계획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출산 가능 시설을 확충하기 위해선 분만실을 비롯해 산과수술실·신생아중환자실 등이 필요한데 사업비만 1200억 원이 넘는다.

 

인천시는 천문학적인 사업비 부담을 덜기 위해 국비 지원을 계획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600억 원이 넘는 시비 부담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게다가 의료인력 확충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현재 인천의료원 산부인과 의사는 2명이다. 이마저 1명은 장석일 의료원장이 의료진에 이름을 올리고 있어 사실상 1명으로만 운영되고 있는 셈이다.

 

인력을 구하기 위해 공고를 올려도 대형병원에 비해 낮은 연금 등으로 채용이 어려울 전망이다.

 

지난해 12월 문을 연 인천의료원 심뇌혈관센터는 해가 바뀌도록 전문의를 구하지 못해 진료 공백에 직면했다.

 

다행히 지난달 심장내과 전문의 1명을 채용하는 데 성공했지만 인력난을 완전히 해소하기까진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필수의료에 속하는 산부인과는 인력난이 가장 심각한 분야 중 하나다. 인천에 있는 산부인과 가운데 분만이 가능한 곳은 약 20곳에 불과하다.

 

다만 모든 공공의료원이 산부인과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아니다.

 

서울의료원의 경우 산부인과에 근무하는 전문의는 6명이다. 분만실도 가족대기실·진통실·가족분만실·분만시술실·고위험산모방 등으로 구성돼 있고, 의료진이 24시간 대기하는 신생아실과 신생아 중환자실도 갖춰져 있다.

 

병동도 1인실과 모자동실을 각각 운영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예산 문제로 인해 당장 추진은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중장기 계획으로 놓고 현실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