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성특례시가 지난 10여 년 동안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인권 회복과 역사적 진실을 널리 알리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꾸준히 펼치며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국내외 곳곳에 ‘평화의 소녀상’을 건립해 전쟁과 여성 인권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이끌어내고, 미래 세대에게 역사 교육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
7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역 시민사회단체 및 교육기관과 연대, 지난 2014년 화성시 첫 평화의 소녀상을 동탄센트럴파크에 세운 것을 시작으로, 평화생태공원 등 주요 지역에 잇따라 소녀상을 설치하며 위안부 피해자들의 아픔을 기억하는 공간을 확장해 왔다.

2015년 캐나다 토론토 한인회관, 2016년 중국 상하이 사범대학교, 2019년 호주 멜버른 한인타운 등 해외 3개국에 ‘평화의 소녀상’을 세우는 국제 협력 사업을 추진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국제적 인식을 제고하는 데에도 앞장섰다.
이 같은 노력은 일본 정부의 역사 왜곡 시도에 맞서 진실을 알리고, 정의로운 역사 정립에 이바지하려는 시민적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소녀상의 뜯겨진 머리카락은 부모와 고향으로부터 단절된 현실을 상징한다. 꼭 쥔 손은 사과 한마디 없는 일본 정부의 태도에 대한 분노를 담고 있다.
땅을 딛지 못한 맨발의 발꿈치는 고향에 돌아와서도 편히 뿌리내리지 못했던 할머니들의 아픈 마음을 표현한다.
소녀상의 뒤로 드리운 그림자는 사죄와 반성 없이 지나온 세월에 대한 피해자들의 한이 서린 시간을 의미한다.
소녀상 옆에 놓인 빈 의자는 먼저 세상을 떠난 할머니들의 빈자리를 나타내며, 오늘을 살아가는 시민이 소녀의 곁에 앉아 그들의 고통에 공감하도록 마련된 공간이다.

시는 오는 14일 ‘세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아 13일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 대강당에서 기념식을 개최한다.
‘기림의날’은 1991년 故 김학순 할머니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처음으로 공개 증언한 날로 피해자들의 인권 회복을 위한 사회적 책임을 되새기기 위해 2017년 법정기념일로 제정됐다.
시는 기림의 날 추모 행사와 전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 학생들과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역사 체험 활동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정명근 시장은 “지난 10년간 국내외에 평화의 소녀상을 건립하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 회복과 더불어 후손들에게 올바른 역사의식을 심어주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피해자 한 분 한 분의 삶을 기억하고 그 아픔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다음 세대가 올바른 역사의식을 배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최순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