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서울 59㎡, 평균가 10억 돌파…실수요 몰린 '중소형' 대세로

강남·마포·송파 등 한강벨트 중심 상승세 뚜렷
실수요층 59㎡로 몰려…최근 3년간 상승폭 확대

 

서울 아파트의 ‘국민 중소형 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59㎡의 평균 매매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10억 원을 넘어섰다. 중대형 아파트뿐 아니라 실수요층이 몰린 중소형 평형대까지 가격 상승세가 확산하면서 서울 부동산 시장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1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올해 9월 말 기준 서울 전용 59㎡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10억 5006만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9억 7266만 원)보다 약 8% 상승한 수치다.

 

지역별로는 강남구가 전년 대비 16.7% 뛰며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어 마포구(15.9%), 송파구(15.8%), 강동구(13.9%), 성동구(13.7%), 광진구(11.0%) 등 이른바 ‘한강벨트’ 지역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강남구 전용 59㎡의 평균 매매가격은 17억 8706만 원에서 20억 8570만 원으로 약 3억 원 상승했다. 특히 개포동은 22.8%(20억 5302만→25억 2137만 원) 급등하며 서울 전체에서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삼성동(17.9%), 역삼동(16.5%)도 강세를 보였으며, 강남 13개 동 중 5곳의 평균가격이 이미 20억 원을 넘어섰다.

 

마포구 역시 용강동을 중심으로 22.1% 상승했다. ‘e편한세상마포리버파크’, ‘마포용강삼성래미안’ 등 주요 역세권 단지 거래가 활발하게 이어지며 평균가가 11억 9708만 원에서 13억 8788만 원으로 뛰었다. 송파구는 잠실·신천 일대 거래 증가로 평균가격이 13억 1720만 원에서 15억 2588만 원으로 약 2억 원 상승했다.

 

반면 서울 외곽 지역은 상승폭이 제한적이었다. 도봉구(1.7%)와 중랑구(보합)는 5억 원대 수준을 유지했고, 금천구는 1.8% 하락한 6억 913만 원으로 나타났다. 종로구도 11억 3978만 원으로 5.5% 떨어졌다. 새 아파트보다 노후·저가 단지 거래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울 전용 59㎡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2023년 9억 419만 원 ▲2024년 9억 7266만 원(7.6%↑) ▲2025년 10억 5006만 원(8.0%↑)으로 3년 연속 상승폭이 커지고 있다.

 

대표 대형 평형인 전용 84㎡의 상승세는 다소 둔화됐다. 서울 평균 매매가격은 2023년 11억 6597만 원 → 2024년 12억 7591만 원 → 2025년 13억 8086만 원으로 올랐지만, 상승률은 9.4%에서 8.2%로 낮아졌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신축단지의 전용 59㎡는 공간 효율성이 높고 가격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해 젊은 세대와 3인 가구의 실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며 “대출 규제 강화 속에서도 자금 여건에 맞춘 실수요 중심 거래가 가격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전용 84㎡와 59㎡ 모두 환금성과 선호도가 높지만, 최근에는 가족 구성 변화와 자금 여건을 고려한 59㎡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84㎡는 여전히 대표 평형이지만 가격 수준이 높아지면서 진입 장벽이 점차 높아진 것이 특징”이라고 덧붙였다.

 

김 랩장은 “두 면적대는 서울 아파트 시장의 가격 흐름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자리 잡았다”며 “실수요가 시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인기 단지를 중심으로 투자 수요가 뒤따를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