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인천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송도국제도시 R2 부지 개발 사업의 반복된 백지화를 두고 비판이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대전 대덕구)은 “사업이 2년 연속 무산됐음에도 유정복 시장이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강도 높게 질타했다.
박 의원은 이날 질의에서 “R2 부지는 인천 시민들이 큰 기대를 걸고 있는 핵심 개발 사업인데, 지난 2023년에 이어 2025년에도 같은 사업자가 유사한 제안으로 다시 공모에 참여했고 결국 또 백지화됐다”며 “이 정도면 단순한 행정 실수가 아니라 구조적 문제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2023년 백지화 사유는 특정 기업에 대한 특혜 의혹, 불투명한 행정절차, 사업 내용의 변질이었다”며 “K-콘텐츠 시티를 만들겠다던 당초 계획이 오피스텔 시티로 변질됐고, 당시에도 경제청장이 수사를 받은 바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올해도 같은 기업이 다시 유사한 제안으로 공모에 참여해 심의에 올라갔다”며 “외국인 직접 투자 요건도 충족하지 못한 업체가 심사에 올라간 건 누가 봐도 특혜 의혹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해당 업체는 기부 체납 조건으로 현금 4000억 원을 제시했지만, 분양 수익 발생 시에만 납부하겠다는 조건을 달았다”며 “사실상 인천시가 민간 분양을 도와줘야 하는 구조로, 공공문화시설 기부는 빠져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유정복 인천시장은 “해당 사업은 투자기획위원회에서 판단하는 사안이며, 시장이 개별 사안에 깊이 관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그러나 박 의원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인천시 산하 기관이고, 투자기획위 역시 시장의 책임 아래 있는 위원회”라며 “심사가 공정하고 투명하게 이뤄지도록 관리·감독하는 것이 바로 시장의 역할”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시민단체가 이미 이 사안에 대해 시위를 벌였고 진상 규명을 촉구하고 있다”며 “수사 의뢰나 자체 진상 조사 계획이 있느냐”고 재차 질의했다.
유 시장은 “시장이 모든 사업을 직접 챙길 수는 없지만, 문제가 없도록 하라는 지시는 하고 있다”면서도 구체적인 조치 내용들은 언급하지 않았다.
한편, 송도 R2 부지는 인천도시공사(iH) 소유의 약 15만 8000㎡ 규모 상업용지다.
앞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오는 2029년 준공을 목표로 송도 8공구 R2블록과 인근 B1·B2블록을 합친 약 21만㎡ 부지에 ‘K-POP 콘텐츠시티’ 사업을 추진했으나, 지난 2023년 수의계약 특혜·오피스텔 개발 등으로 논란이 일어 혼란과 잡음 끝에 백지화됐다.
그러나 지난 달 23일 투자유치기획위원회는 심도 깊은 재심의를 통해 본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한 최적의 방안으로 ‘공모방식 도입’을 권고하며 사업 진행에 신호탄을 울렸다.
[ 경기신문 / 인천 = 정진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