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미국 출장 첫 공식 일정으로 바이오, 인공위성, 휴먼 로봇 등 첨단 산업 분야 차세대 리더들과 만나 협력을 제안했다.
28일 경기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27일(현지 시간) 미국 보스턴 케임브리지이노베이션센터에서 윤정효 노나테크놀로지 공동창립자, 이동엽 뉴잉글랜드 생명과학협회 보스턴 과학자 협회장, 이재교 하버드 의과대학 박사 등과 ‘차세대 혁신 리더 간담회’를 가졌다.
김 지사와 차세대 한인 대표들은 도와 기업 간 협력 방안, 한미 혁신동맹을 위한 의견 청취 등을 위해 이번 간담회를 마련했다.
김 지사는 간담회 참석자들에게 “도는 여러분들이 종사하고 계시는 첨단 산업 분야에 있어 대한민국에서 가장 앞서 있고 가장 열심히 하는 곳”이라고 말했다.
또 “현재 AI혁신클러스터 거점을 조성 중인데 판교 AI허브, 시흥 AI바이오, 부천 AI로봇, 하남 AI서비스, 의정부 AI제조, 성남 AI피지컬 클러스터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코리안 실리콘밸리라고 하는 판교는 3판교에 이어 4판교까지 계획하고 있다. 판교+20이라고 20곳 이상에 스타트업 허브도 만들고 있다”며 참석자들에게 교류를 제안했다.
이에 윤정효 대표는 “도에 공장이 많으니 수처리 기술에 대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런데 협업을 하고 싶어도 누구랑 연결해야 하는지 접근하기가 힘들다”고 건의했다.
그러자 김 지사는 “제가 직접 다 하겠다”고 한 뒤 “직접 소통해야 성의도 있고 바로 (협업도) 할 수 있다. 제가 (협업 담당 기관장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에게 특별히 지시를 해 협업 관련 내용을 직접 보고받도록 하겠다. 편하게 연락해달라”고 즉답했다.
이어 김 지사는 우정훈 대표가 도, 서울, 인천 송도 등과의 유기적 협업이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을 전하자 “아주 좋은 생각”이라고 화답했다.
김 지사는 “경기지역이면 어떻고 인천이면 어떻겠나”라며 “가끔 정치적으로 시도지사가 당이 달라서 이런 문제가 대두할 수 있지만 개의치 않고 잘 협력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케임브리지이노베이션센터는 공유형 사무실로 국내 바이오 기업 30개 사가 입주하고 있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