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도권 대규모 아파트 3만가구가 집중적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8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11~12월 전국의 분양 예정 아파트(주상복합 포함)가 54개 단지, 3만642가구로 조사됐다. 올해 들어서는 전달(3만8천504가구)에 이어 세번째로 많은 물량으로 수도권 1만1천757가구, 지방 광역시 5천89가구, 지방 중소도시 1만3천796가구로 각각 집계됐다. 특히, 수도권에서 공공 분양은 위례신도시와 하남 미사지구 보금자리주택 본청약이, 민간 분양은 서울 왕십리 2구역과 답십리 16구역 재개발이 각각 주목된다. 이달 말 입주자 모집공고를 내고 다음달 초 청약접수를 시작할 계획이다. 위례신도시 본청약 물량은 2개 블록, 2천949가구로 이 중 사전예약 당첨자분을 제외한 1천44가구가 일반에 공급된다. 하남 미사지구 보금자리도 다음달 2개 블록, 630가구에서 본청약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서울의 민간 재개발 지역은 일반분양 물량이 많아 실수요자들의 눈길을 끈다. 12월 분양 예정인 왕십리뉴타운 2구역은 1천148가구 중 절반에 가까운 510가구를 일반에 공급한다. 2002년 재개발사업 시범지구로 선정된 지 거의 10년 만이다. GS건설, 현대산
속칭 ‘빼빼로 데이’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을 앞두고 초콜릿과 떡, 엿 등 선물용 식품 소비가 늘어나는 가운데 관련 업소 37곳이 위생불량 등으로 당국에 적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지난달 17∼28일 전국의 초콜릿, 떡, 엿 제조업체와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 내 판매업소 등 7천421개를 점검,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37개 업체를 적발했다고 8일 밝혔다. 경인지역에서는 용인 한국민속촌을 포함해 총 12개 업체가 적발됐다. <표 참조> 식약청은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적발된 업체들에 대한 행정처분을 요청했다. 적발된 업체를 유형별로 보면 위생적 취급기준을 위반한 업소가 13곳이었고 ▲표시기준 위반(7곳) ▲원료 관계서류 미작성 및 허위기재(6곳) ▲직원 건강진단 미실시(2곳) ▲시설기준 위반(2곳) ▲자가품질검사 미실시(2곳) ▲생산작업에 관한 기록 미작성(1곳) ▲기타 식품위생법 위반(4곳) 등이다. 식약청은 또 이들 업체가 유통 중이던 초콜릿류, 떡류, 엿류 제품 등 총 1천573건을 수거해 검사하고 있다.
수능을 앞두고 제과업계가 출시한 수험생 합격 기원 과자들이 기존 제품의 포장만 달리한 수준인데 값은 조금씩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제과·유통업계에 따르면 해태와 오리온, 농심 등 제과 업계는 최근 수능생 합격 기원용 과자를 경쟁적으로 출시해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오리온은 초코파이 4개를 담은 ‘초코파이 情 정답기원팩’(1천100원)을 15만개 한정 수량으로 판매하고 있다. 기존 12개 들이 한 박스(3천200원)와 비교하면 수능 특별팩에 담긴 초코파이 한 개(35g)의 가격은 기존 제품보다 9원 정도 비싸진 것이다. 해태제과는 ‘생생카레칩’(116g·2천240원)을 개량한 ‘대박기원 카레칩’(80g·1천590원)을 롯데마트에서 단독 판매하고 있다. 회사는 전국의 4년제 대학교 입학 정원과 같은 수인 32만8천119봉지만 한정 생산하며 희귀성을 높이는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10g당 가격을 비교하면 수능합격 기원 제품이 기존 제품보다 5원이 더 비싸다. 해태제과는 이에 대해 “수능 합격기원 상품은 기존 카레칩보다 수험생 긴장 완화에 좋은 강황을 배 이상 넣었다”고 설명했다. 또 이 제품의 공급 가격은 60g 제품과 비교하면
가계대출 억제책으로 대출에서는 ‘소호 쏠림’ 현상이 나타나 우려를 낳고 있다. 가계대출도 전달에 비해 3배로 늘어 가계대출 억제책의 효력이 점차 다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7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 기업은행 등 5개 주요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달말 현재 380조5천35억원으로 9월말보다 6조6천44억원(1.8%) 늘어났다. 이는 지난해 10월의 9조697억원 이후 1년 만의 최대 증가폭이다. 요구불예금과 정기적금도 각각 3조4천653억원, 3천517억원 늘어났다. 이에 따라 5개 은행의 총수신은 773조1천905억원으로 9월말보다 13조9천810억원(1.8%) 급증했다. 2월의 14조8천837억원 이후 8개월 만에 수신 증가액이 10조원을 넘어선 것이다. 국민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9월초 연 4.06%에서 지난달 중순 4.04%로 내리는 등 예금금리는 하향세지만, 부동산시장 침체와 증시 불안 등으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시중자금은 은행 예금으로 몰려들고 있다. 이에 연 6~7%를 구가하던 대형 저축은행의 예금금리마저 이달 들어 4%대로 뚝 떨어지며 은행 예금과의 차별성이 없어져, 은행권으로의 ‘시중자금 러시’ 현상은 당분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주차장, 화장실 등 편의시설을 현대화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통시장 상인회 300곳과 소비자 300명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정책으로 상인과 소비자 모두 ‘시설 현대화’(상인 38.0%, 소비자 34.5%)를 가장 많이 꼽았다고 7일 밝혔다. 상인은 이어 온누리상품권 활성화(20.2%), 공동 마케팅(16.2%), 휴식공간 개설(6.8%), 온라인 판매(3.8%)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소비자는 휴식공간 개설(11.5%), 무료 배송 서비스(9.6%), 공동 마케팅(9.1%), 특산품 판매 전시(7.5%) 등의 순이었다. 전통시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가장 큰 불만사항은 주차 불편(24.6%)이었고, 카드 거래 거부(10.7%), 환불·교환 어려움(9.8%), 화장실 부족(9.2%) 등이 뒤를 이었다. 상인이 점포를 운영하면서 겪는 애로사항으로는 주차장·화장실 등 편의시설 부족(42.9%)이 가장 많았다. 전통시장 고객의 61.8%는 50대 이상이었고, 대부분 지역주민(87.6%)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매 상품이나 서비스는 농수축산물(51.1%)이 절반
민간 보금자리주택의 건설 범위가 종전 그린벨트 보금자리주택지구에서 일반 신도시, 택지지구 등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그린벨트 보금자리주택사업 차질에 따른 공공아파트인 보금자리주택의 공급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육책이다. 국토해양부는 현재 도입을 추진중인 민간 보금자리주택을 그린벨트 보금자리주택지구와 함께 신도시, 택지지구, 산업단지 등 공공이 개발하는 택지에도 공급될 수 있도록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7일 밝혔다. 민간 보금자리주택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자금난을 고려해 당초 그린벨트 보금자리주택지구에서 LH가 공급해야 할 전용면적 60~85㎡ 택지를 민간 건설사에게 분양해 주택을 짓게 하고, 국민주택기금에서 가구당 7천500만원의 건설자금을 지원해 공공아파트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 지난 4월 한나라당 정진섭 의원은 보금자리주택건설 사업 시행자에 주택건설사업자를 추가하는 내용의 보금자리주택 특별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으며 국토부는 이 법안을 올해 정기국회에서 최우선으로 통과시킨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그린벨트 보금자리주택 사업이 지자체·지역 주민의 반대와 LH의 자금난 등으로 차질을 빚게 되자 정부는 보금자리주택 특별법으로 건설되는 그린벨트지구는
기업에서 실무 능력을 갖춘 신입사원을 선호함에 따라, 취업 후 일정 경력을 쌓고 목표했던 회사에 신입으로 다시 도전하는 올드루키가 늘고 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은 기업 인사담당자 317명을 대상으로 ‘신입 채용 시 경력 보유 지원자 여부’를 조사한 결과, 79.5%가 ‘있다’라고 답했다고 7일 밝혔다. 전체 지원자 중 경력직 신입 지원자의 비율은 평균 33%였다. 자세히 살펴보면, ‘21~30%’(24.2%), ‘11~20%’(17.9%), ‘10% 이하’(17.5%), ‘31~40%’(10.3%), ‘51~60%’(8.7%) 등의 순이었다. 한편, 신입 채용 시 경력 보유 지원자와 미보유 지원자 중 누구를 더 선호하느냐는 질문에는 74.8%가 ‘경력 보유 지원자’를 택해, ‘경력 미보유 지원자’(25.2%)보다 3배나 더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 보유 지원자를 선호하는 이유로는 ‘업무 이해도가 높을 것 같아서’(75.1%, 복수응답)가 첫 번째였으며 다음으로 ‘업무 능력이 뛰어날 것 같아서’(31.2%), ‘조직 적응력이 높을 것 같아서’(22.8%), ‘별도 교육이 필요 없어서’(22.4%), ‘조직문화 이해도가 높을 것 같아서’(16%
극동건설이 광교흥덕지구 유일의 준공 후 분양을 시작한 흥덕 U-TOWER 첨단지식산업센터가 선을 보인다. 극동건설은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1029번지 흥덕택지개발지구 내에 초고층인 지하4층~지상34층 규모의 ‘흥덕 U-Tower’ 첨단지식산업센터를 공급한다고 7일 밝혔다. 현재 분양중인 흥덕 U-Tower 첨단지식산업센터는 지식산업센터, 근린생활시설, 기숙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규모는 2만5천486㎡의 대지면적에 1만1천524㎡의 건축면적, 13만6천799㎡의 연면적으로 시공됐다. 흥덕 U-Tower는 3세대 도시형공장에 걸맞게 다양한 최첨단 지원시스템을 갖췄다. IT(정보통신사업), BT(생명공학산업), CT(문화콘텐츠산업), NT(초정밀 나노산업), ET(환경공학산업), ST(우주항공산업) 등 6T 산업 중심의 기업을 중심으로 입주를 희망하고 있어 현재 80% 정도 입주율을 보이고 있다. 교통여건은 용인~서울 고속도로 흥덕IC가 인접해 있어 강남권까지 15분 내 도달이 가능하다. 경부고속도로 수원IC에서 5분 거리며 서울외곽순환도로, 영동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음성~평택 고속도로 등 광역교통망의 중심에 위치해 있어 입지가 좋다. 흥덕 U-Tower 내부
이달 둘째주에는 전국 8천여가구가 넘는 아파트가 일반에 분양된다. 7일 부동산포털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11월 둘째 주에는 임대주택 2천780가구, 분양주택 8천563가구 등 전국 17개 사업장에서 총 1만1천343가구가(8천239가구 일반분양) 공급될 예정이다. 특히 서울 서초보금자리지구에는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이 최초로 공급될 예정이다. 또 서울 은평뉴타운, 서초우면2지구에는 장기전세 주택이 공급돼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10일 성남시 중원구 중동3구역 재개발 사업의 시공을 맡은 롯데건설은 성남중동롯데캐슬을 내놓는다. 지상 21층 9개 동 총 545가구 중 전용 ▲59㎡(93가구) ▲84㎡(109가구) ▲114㎡(19가구) 등 221가구를 일반에 분양한다. 산성대로, 성남대로, 헌릉로 진입이 수월하고, 서울외곽순환도로 송파IC, 탄천IC가 인접해 있어 서울 등 인근지역 접근성이 우수하다. 지하철 8호선 단대오거리역이 도보 3분 거리에 위치해 있고, 역 주변 버스정류장에는 강남권을 경유하는 간선버스, 광역버스 등이 있기 때문에 대중교통 이용이 쉽다. 분양가는 3.3㎡당 1천320만 원선에 책정됐다. 11일 LH는 서울 서초구 서초지구 A4BL
정부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신축 다세대 주택 매입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매입 대상을 연립주택으로 확대하고, 건축비 매입단가도 높여주기로 했다. 6일 국토해양부는 이달 7일 LH 홈페이지(www.ih.or.kr)를 통해 이와 같은 내용의 신축 다세대·연립주택 3차 매입공고를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8.18 전월세 대책’에서 도심의 전세난 해결을 위해 올해까지 LH를 통해 민간 건설사업자가 신축한 다세대주택 2만가구를 장기 전세형 주택으로 매입하기로 했다. 하지만, 건축단가가 낮고 매입조건이 까다롭다는 이유로 신청접수를 시작한 지난 9월부터 11월 현재까지 두달여간 신청 가구수가 13%인 2천600가구에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국토부와 LH는 최근 신축 다세대주택 매입임대사업 사업설명회에서 제기된 민간 사업자 등의 의견을 반영해 제도를 개선하기로 했다. 현재 건축연면적 제한에 걸려 매입 신청이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서 연면적 660㎡ 이하 다세대 주택으로 한정돼 있는 매입대상은 연면적 660㎡ 초과 연립주택으로 확대 된다. 다만, 가구수는 종전대로 사업승인을 받지 않고, 건축허가로 지을 수 있는 30가구 미만이어야 하고, 가구당 전용면적도 4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