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창고업체 10곳 중 3곳이 경기도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8월 말 기준 지방자치단체 등에 등록한 전국의 물류창고업체 수가 총 3천612개로 집계됐다고 10일 밝혔다. 물류창고업 등록제를 시행한 지난 2월부터 지자체와 지방해양항만청에 1천153개 업체가 등록했고 관세법 등 다른 법에 따라 이미 등록한 업체는 2천459개이다. 특히 수도권 물류창고업체 수는 1천579개로 전체의 43.5%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에 1천77개(29.8%)의 물류창고가 위치해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어 ▲경남 484개(13.4%) ▲부산 407개(11.3%) ▲인천 399개(11.0%) 등의 순이다. 업태별로는 보관·창고업이 50.2%로 절반에 달했고 운송·택배업(28.9%), 판매업(12.7%), 제조업(8.3%) 등이 뒤를 이었다. 규모별로는 ‘2천㎡~5천㎡ 미만’인 물류창고가 28.1%로 가장 많고 ‘1만㎡ 이상’인 창고도 27.8%로 적지 않았다. 사업자별로는 법인사업자가 75%, 개인사업자는 25%로 집계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말부터 매년 우수 물
지난달 경기지역 취업자 수가 소폭 증가세를 유지했다. 10일 경인지방통계청이 내놓은 ‘9월 경기도 고용동향추이’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취업자는 597만2천명으로 전년동월 대비 11만3천명(1.9%) 증가했다. 올해 도내 취업자 수는 매월 1~2%선을 이어가고 있다. 성별로는 남자가 360만1천명, 여자는 237만1천명으로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5만2천명(1.5%), 1만6천명(2.6%) 각각 늘었다. 산업별로는 전년동월 대비 농림어업 1만7천명, 10.3%,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10만5천명(5.0%), 건설업 1만5천명(3.7%), 도소매·음식숙박업 3천명(0.3%) 각각 증가했다. 반면 제조업(-1만6천명, -1.5%)과 전기·운수·통신·금융업(-9천명, -1.2%)은 줄었다. 9월 실업자는 19만4천명으로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7천명(-.5%) 증가했다. 남자는 12만7천명으로 1만3천명(11.2%) 늘었지만 여자는 6만7천명으로 6천명(-8.4%) 감소했다. 고용률은 60.2%로 전년동월 대비 1.3%p 상승했고 실업률은 3.1%로 보합세를 유지했다.
가을 이사철을 맞아 전세가격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사비를 한 푼이라도 아끼려 재계약을 선호하는 세입자들이 많아지면서 전세매물은 부족할 전망이다. 이럴 땐 1천세대 이상 대규모 새아파트 입주로 눈을 돌리면 손쉽게 전셋집을 마련할 수 있다. 10일 부동산써브(www.serve.co.kr)가 최근 전국에서 연내 1천 가구 이상 신규입주가 개시될 아파트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총 10개 단지, 1만8천572가구가 입주대기 중이고 이중 8곳이 수도권에 집중됐다. 대규모 입주단지들은 거래량침체 여파나 자금조달계획 차질로 입주를 제때하지 못해 잔금연체율로 고통 받느니, 싸게라도 전세를 놓으려는 수요가 발생되기 쉽다. 실제 지난 8월말 기준 국내 은행권의 집단대출 연체율이 주택담보대출 연체율(0.91%)의 2배 수준인 1.9%를 띄고 있어 입주잔금 마련이 쉽지 않을 경우 전세로 돌리는 사례가 늘 것으로 추정된다. 일례로 올 10월 입주가 시작되는 고양시 삼송지구 A-22블록 호반베르디움은 총 1천426가구의 대규모 단지인 동시에 지하철 3호선 삼송역이 가깝고, 112-114㎡ 등 중소형 평면으로 구성됐다. 중도금 대출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략 전세가는 1
거봉종합건설㈜은 수원 인계동에 도시형생활주택 ‘무비하임’ 131세대를 분양한다. 이번에 분양하는 ‘무비하임’은 지하2층, 지상 9층 규모의 원룸형으로 28.82㎡ 67가구, 30.87㎡ 54가구, 42.59㎡ 10가구로 구성된다. 분양가는 28.82㎡ 8천500만원, 30.87㎡ 8천600만원, 42.59㎡ 1억1천만원이며, 준공후 분양으로 계약(잔금납부)과 동시에 입주가 가능하다. 분양 지역 인근은 수원시청 뒤 중심상업지역으로 임대수요가 풍부하다. 또 2013년 완공되는 분당선의 연장인 수원시청역이 도보로 3분거리에 위치한다. 분양문의: 1599-0201
경기신문과 전국언론노동조합 경기신문지부가 9일 노사간 상생을 위한 첫 단추로 단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단체협약 체결은 지난 4월25일 노조가 출범한 이래 경기신문과 처음으로 맺는 ‘법적 효력을 갖는 약속’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경기신문지부는 이날 이상원 대표이사와 김갑동 사장, 강성남 전국언론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 김장선 지부장 등 노사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단협 조인식을 가졌다. 노사 양측은 지난 7월부터 단체협약안에 대한 협상을 진행해 왔으며, 전문을 포함한 12장 108개 조항으로 구성된 단협안에 합의했다. 단체협약에는 ▲조합 활동 ▲인사 ▲근로조건 ▲임금 ▲복지후생 및 교육 ▲편집규약 ▲산업안전보건 및 재해보상 등 조합원의 노동조건과 생활조건, 복리 등을 증진시키는 구체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다. 이에 앞서 경기신문지부는 노사간 최종 합의된 단협안에 대해 지난달 27일 정기총회를 열고 총 47명 조합원 중 절반 이상인 39명이 찬반투표를 실시해 38표 찬성, 1표 무효로 단협안을 최종 가결했다. 김장선 지부장은 “이번 단협 체결은 노사 양측이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이해와 공감의 폭을 넓히고 상생의 노사문화를 한단
지난 1월 개국한 중소기업전문 쇼핑채널 ‘홈&쇼핑’이 중소기업 제품 대신 대기업과 수입제품 판매 비중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홈&쇼핑은 중소기업중앙회가 전체 지분의 33%를 가진 최대주주로 농협중앙회, 중소기업유통센터(중소기업진흥공단 출자), 기업은행(각각 15%)이 1천억원을 출자해 만든 홈쇼핑 업체다. 9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박완주 의원이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홈&쇼핑의 전체 판매 상품군 중 중소기업 제품 비율은 개국 첫 달 93%에 육박했지만 8월에는 78.3%로 떨어졌다. 반면 대기업제품의 편성비중은 같은 기간 4.9%에서 15.6%까지 치솟았고, 수입제품도 2%에서 6.1%로 확대됐다. 이는 대기업과 수입제품의 판매 비율이 개국 1년이 채 되지 못해 3~4배가량 늘어난 셈이다. 또 중소기업 제품을 수입제품으로 오인토록 방송해 구매를 유도한 사례도 확인됐다. 홈&쇼핑은 국내 중소기업 제품을 미국 수입품으로 혼란을 유도해 판매하고, 수입 속옷을 팔면서 선정적인 표현을 사용했다. 이에 따라 홈&쇼핑이 올 1월부터 9월 30일까지 방통위로부터 사과 및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10일부터 오산세교 택지개발사업지구 내 국민임대주택 A-7BL 822세대에 대한 신청 접수를 받는다. 주택규모별로는 전용면적 36㎡ 190가구, 41㎡ 370가구, 51㎡ 186가구, 59㎡ 76가구로 구성된다. 평형별 임대조건은 ▲36㎡형 임대보증금 1천310만원, 월임대료 18만2천원 ▲41㎡형 임대보증금 2천27만원, 월임대료 19만6천원 ▲51㎡형 임대보증금 3천240만원, 월임대료 30만2천원 ▲59㎡형 임대보증금 3천750만원, 월임대료 34만2천원이다. 신청접수는 LH 홈페이지 분양·임대시스템(http://myhome.lh.or.kr)에 접속해 인터넷 신청이 가능하다. 방문신청은 LH 오산직할사업단 홍보관(오산시 세교동 산5번지)에서 오는 16일까지 접수 받는다. 자세한 내용은 LH 홈페이지(http://www.lh.or.kr)에 게시되는 공고문을 참조하거나 대표전화(1600-1004)로 문의하면 된다.
LG전자가 세계최고 효율의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LG전자는 최근 상용화한 기술을 바탕으로 태양전지의 효율을 평균 20.6%, 최고 20.7%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이는 대다수를 차지하는 P타입 태양전지에서 19% 수준이던 기존 최고 효율 기록을 초과한 것이라고 LG전자 측은 설명했다. 이 제품은 156X156㎟ P타입 모노웨이퍼를 이용해 개발했다. 태양전지의 효율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이 같은 효율은 LG전자가 세계적인 권위를 가진 프라운호퍼 연구소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한 자체 테스트를 통해 측정했다.
시중에 판매되는 고추장에 첨가된 물엿, 조청 등의 당류 비중이 25%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9일 한국소비자원이 대형마트에서 판매되는 18개 가정용 고추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제품에서 당류가 차지하는 비중이 평균 27%로 나타났다. 제품별로는 ‘청정원순창 순창고추로 만든 100% 국산고추장’의 당류 함량이 3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이마트베스트 국산태양초 쌀고추장’과 ‘진미식품 국산통쌀 태양초고추장’이 28%로 뒤를 이었다. 특히 이들 고추장의 나트륨 함량은 고추장 100g당 평균 2천436㎎에 육박했다. 성인 기준 하루 나트륨 권장량은 2천㎎이다. 제품 가운데 샘표식품 ‘태양초 우리쌀 고추장’은 100g당 2천740㎎으로 나트륨 함량이 최고치였다. 이에 반해 CJ제일제당 ‘우리쌀로 만든 태양초 골드 고추장’과 ‘국산통쌀 태양초 고추장’은 100g당 2천330㎎으로 가장 적었다. 18개 중 12개 제품은 국산과 중국산 고춧가루를 혼합했다. 국산 고춧가루가 차지하는 함량이 가장 적은 제품은 ‘우리쌀로 만든
관세청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마약류 밀반입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마약밀수 단속체계 고도화방안’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올 9월말 기준 마약류 밀반입은 총 172건, 22.6㎏, 시가 336억원 상당으로 전년동기 대비 건수기준 34% 증가했다. 종류별로는 ‘메스암페타민’(일명 필로폰)이 83건, 10.6㎏으로 가장 많고, 신종 마약류인 ‘JWH-018’ 등 합성대마가 23건(6.9㎏), 대마 35건(2.4㎏) 등의 순이다. 이에 관세청은 전담조직 신설 등을 포함한 마약밀수 단속체계 고도화방안을 실행한다. 특송화물 검사인력을 증원해 검사를 강화하고, 최신 마약탐지장비(Ion-scanner) 를 추가로 배치하는 한편 교육강화 등을 통해 ‘X-ray’ 판독직원의 적발능력 강화에 착수한다. 또 국제우편 및 특송화물 등 마약류 밀반입경로에 대한 세관 가용자원을 총동원한 특별단속을 연말까지 연장해 신종 마약류 밀반입을 국경에서부터 차단할 방침이다. 이 외에 해와 30개국과 신종마약 적발정보 실시간 공유체계 구축 등 ‘신종마약 국제합동단속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검찰, 경찰, 국정원, 외국세관 및 미 DEA(마약단속청) 등 국내·외 단속 기관과 공조를 더욱 강화할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