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지역난방 민영화 추진에 성남 주민들이 저지 투쟁 강도를 높여가기로 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6일 주민 등에 따르면 정부가 공공기관 선진화 명목으로 지역난방공사 민영화 추진에 대해 최근 성남시 아파트 단지 주민을 비롯 각 사회단체, 정당 등이 지역난방 민영화 저지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공동대표 이재명, 한상문 등)를 발족하고 앞으로 각종 토론회와 집회, 법적 대응 등을 통해 목소리를 높여가기로 해 분당신도시를 중심으로 최대 현안거리가 될 전망이다.
공동 대책위에는 성남시아파트입주자대표연합회, 판교입주예정자대표, 분당주상복합아파트부녀회연합회 등 성남지역 10개 아파트 단체와 성남참여연대, 성남환경운동연합, 성남시학원연합회, 민주당분당갑지역위원회 등이 참여하고 있다.
공동 대책위는 “지난 1990년 분당신도시 아파트 건설 당시 지역난방시설 건설비용 1조3천억원을 입주민들이 부담했는데 정부가 주식상장이나 지분매각으로 민영화한다면 주민재산을 정부가 마음대로 처분하는 꼴이 된다”며 “2001년 지역난방공사 안양, 부천지사가 민영화 후 40% 가까운요금 폭등이 발생한 사례를 보듯 지역난방 민영화는 이윤추구를 위해 요금 인상을 시도할 수밖에 없어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에게 돌아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공동 대책위는 또 “기구 결성에 그치지 않고 토론회와 각종 집회를 통해 주민들의 민영화 저지 목소리를 높여가는 한편 법적대응도 적극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국지역난방공사 관계자는 “정부의 방침을 주의깊게 조용히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공공기관 선진화 추진계획에 따라 한국지역난방공사는 공공지분 51%를 유지하면서 상장을 통해 일부 지분을 매각하고 자회사인안산도시개발과 인천종합에너지는 난방공사 지분을 매각해 완전 민영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