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9 (월)

  • 구름많음동두천 25.8℃
  • 구름많음강릉 33.6℃
  • 흐림서울 27.4℃
  • 구름조금대전 30.2℃
  • 구름조금대구 34.7℃
  • 맑음울산 34.1℃
  • 맑음광주 31.6℃
  • 맑음부산 30.7℃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2.3℃
  • 구름많음강화 25.8℃
  • 맑음보은 29.0℃
  • 맑음금산 29.7℃
  • 맑음강진군 30.5℃
  • 맑음경주시 35.7℃
  • 맑음거제 28.9℃
기상청 제공

상봉 신청자 47%, 생전에 만남 못 이룬채 눈 감았다

통일의 꿈 역사의 상흔, 남북 이산가족 ①

 

매년 두차례 정도 이뤄지던 상봉

이명박 정부 들어 남북관계 악화

4년동안 단 두 차례에 그쳐…

2013년 상봉행사도 北 연기로 무산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6만여명’

道 1만9000여명 거주… 전국 최다

신청자중 70세이상 비율 80% 넘어

매년 상봉규모 7000명 이상 늘려야

생전 모두 한번쯤 만날 기회 돌아가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2014년 새해벽두부터 통일대박을 언급하며 7만여 이산가족의 심장을 요동치게 만들었다. 이들에게 전쟁의 포화 속에 눈물로 돌아선 가족은 평생 지울수 없는 상처이기에 누구보다 반가운 소식이었다. 이산가족 상봉, 남북 정상회담, 통일시대 개막 등에 거는 기대와 염원은결코 저버릴 수 없는 숙명과 같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해 2월 가뭄 속 단비처럼 찾아온 제19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도 이들의 상처를 치유하기엔 턱없이 부족했다. 결국 언제가 될 지 모를 날을 기약한 채 눈물과 그리움만 서로의 가슴에 묻고 또 다시 뒤돌아서야 했다. 이와 함께 한국전쟁 이후 수십년간 가족과 헤어져 지낸 통곡과 회한의 세월도 한국역사의 상흔으로 남게됐다



■ 분단 40년만에 이산가족 만남 개시

남북 이산가족 상봉은 1971년 8월 12일에 대한적십자사의 이산가족찾기 운동에서 비롯됐다.

한국전쟁으로 남과 북에서 헤어져 살고 있는 이산가족들의 실태를 확인해 소식을 전하고 상봉하는 게 목적이었다.

남북 이산가족들의 첫 만남은 분단된 지 40년만인 1985년 9월 남북한 적십자간 합의에 의해 이뤄졌다.

당시 ‘고향 방문단’이라는 이름으로, 남북에서 각각 30 가족이 서울과 평양을 방문하면서 이산가족 상봉의 역사가 시작됐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본격화된 것은 2000년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간의 정상회담 이후부터다.

당시 두 정상이 합의해 발표한 6.15공동선언을 계기로 매회 각각 100명씩 서로의 가족을 찾는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한다. 이후 2010년 10월까지 모두 18차례 대면상봉을 통해 모두 3천800여 가족, 1만8천여 명이 재회의 기쁨을 누렸다.

2005년에는 처음으로 화상상봉도 이뤄져 2007년까지 모두 7차례에 걸쳐 3천700여 명이 서로의 소식을 주고 받았다.

하지만 매년 두 차례 정도 이뤄지던 상봉 행사는 이명박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4년간 단 두 차례에 그쳤다.

박근혜 정부 출범 첫 해인 2013년에도 추석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열기로 합의했지만 북한이 행사 나흘 전 연기를 통보하면서 무산됐다.

이후 정부는 북측에 지속적으로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요구했지만 북한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를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우리 측과 달리, 북한은 체제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다 지난해 2월 북한이 전향적 자세를 보이면서 3년 4개월만에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재개됐다.


 


■ 경기도, 국내 최다 이산가족 거주

지난해 통일부 자료에 따르면 1988년부터 2014년 11월 말까지 한국 측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모두 12만9천604명이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 47%(6만733명)는 생전에 북측 가족을 만나보지도 못한 채 삶을 마감하고, 이제 6만733명만 남았다.

이 중 전국에서 가장 많은 1만9천910명(28.9%)이 경기도에 살고 있으며, 서울은 1만9천839명(28.8%)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 인천 5천715명(8.3%), 강원 4천47명(5.9%), 부산 3천348명(4.9%), 대구 1천641명(2.4%) 등의 순이다.

특히 이산가족들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이들 신청자중 70세 이상의 비율은 이미 80%를 넘어섰다.

매년 3천여명에 이르는 신청자의 사망율과 평균수명(81세)을 고려하면 이들은 20년 후면 모두 사망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2013년 한해에만 3천841명이 사망했으며, 2014년(11월 말 기준)에는 2천949명이 세상을 떠났다.

도내에서도 2013년 863명, 2014년 748명이 각각 가족상봉의 꿈을 이루지 못하고 유명을 달리했다.

70세 이상의 경우 이산가족 상봉규모를 앞으로 10년간 해마다 7천명 이상으로 늘려야 북측 가족과 만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현재 남북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정기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규모도 급격히 줄어드는 추세다.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이후 8년간 매년 1천 명 넘게 많을 땐 3천600명 이상의 이산가족들이 상봉했다.

그러다 2009년과 2010년엔 각각 800여 명으로 줄더니, 2011년 이후 3년간은 가족상봉이 한차례도 성사되지 않았다.

3년만에 재개된 지난해 2월 이산가족 상봉 때에도 남북 양측에서 각각 100명씩 보낸 것이 고작이었다.

이때문에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생사 확인, 서신교환 등에 대한 논의보다 상봉규모 확대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용화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매년 상봉 규모를 7천 명 이상으로 늘려야 생전에 모두 한 번쯤 만날 기회가 돌아간다. 70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 10년간 매년 6천명 이상 상봉을 해야 생애 한 번이라도 북측 가족과 만날 수 있다”고 말했다.

/윤현민기자 hmyun@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