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항공산업 산학융합지구
공사, 200억 중 100억만 기부
市, 사업비 확보에 난관 봉착
항공정비 특화단지 조성 사업
공항 부지에 정비단지 추진
공사 협조 없인 사업 어려워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주요 항공사업들이 난관을 겪고 있다.
16일 시에 따르면 먼저 내년 1월 송도에 들어설 ‘항공산업 산학융합지구’는 사업비 확보가 어려워 착공이 무기한 미뤄지고 있다.
시는 사업비 584억 원 중 200억 원을 인천공항공사로부터 기부받을 계획이었지만 현재 100억 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시는 공항공사에 나머지 기부금을 요청하고 있지만 공사는 시와 상생협력 진척에 따라 기부금 추가 지급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확보한 기부금 100억 원으로 내달 중 공사를 시작하고 공사가 기부금을 추가 지급하지 않으면 추가경정예산으로 100억 원을 충당한다는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지난 해 시가 공사 지방세 감면 혜택을 중단한 것이 공사 입장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또 항공정비(MRO) 특화단지 조성사업 추진도 진척이 없다.
시는 인천공항 4활주로 좌측 114만㎡ 땅을 MRO단지로 지정받는 방안을 추진했다.
하지만 국토교통부는 지난 달 경남 사천시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컨소시엄을 정부 지원 MRO사업자로 최종 선정했다.
시는 인천공항에 민간항공 수요 중심의 정비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인천공항 MRO 예정부지는 공항공사 소유 땅으로 협조가 필요한 데 지방세 감면 폐지로 냉랭한 기류가 사업추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아울러 시의 인천공항 지분 3% 확보 추진사업 또한 제자리 걸음이다.
시는 공사 납입자본금 3조6천억 원의 3%인 1천85억 원을 영종하늘도시 60만7천㎡ 땅으로 현물 출자해 공항 지분을 확보한다는 구상이지만 국토부와 공사는 정부지분이 100%인 공항의 지분 일부를 시에 넘기는 것을 반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시는 항공을 8대 핵심전략사업으로 설정했을뿐 정확한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시는 지난 2016년 11월 공사와 상생협력 협약 체결 후 단 1차례도 협의회를 열지 못했다.
협약 당시 두 기관은 시장과 사장이 참여하는 협의회를 연간 두 차례 열기로 약속했다.
시 관계자는 “지난 해에 여러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공사에 협의회 개최를 요청했지만 2터미널 개장 준비 등 당면한 현안이 많다고 해 열지 못했다”며 “이번 주 2터미널이 개장하고 나면 본격적으로 상생협력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