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22.1℃
  • 맑음강릉 27.1℃
  • 맑음서울 24.0℃
  • 흐림대전 22.1℃
  • 흐림대구 21.0℃
  • 흐림울산 20.3℃
  • 흐림광주 20.6℃
  • 흐림부산 20.9℃
  • 흐림고창 19.7℃
  • 흐림제주 21.0℃
  • 맑음강화 22.9℃
  • 흐림보은 19.2℃
  • 흐림금산 19.5℃
  • 흐림강진군 18.5℃
  • 흐림경주시 19.9℃
  • 흐림거제 19.2℃
기상청 제공

빈 필하모닉 11월 내한…카라얀 이후 오스트리아 최고 거장 '벨저-뫼스트'가 지휘

 

180년 전통의 세계 최정상급 관현악단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내한한다.

 

공연기획사 WCN코리아는 오는 11월 3일과 4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내한 공연을 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연에서는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의 제자이자 카라얀 이후 오스트리아 출신 최고 거장으로 꼽히는 프란츠 벨저-뫼스트가 지휘봉을 잡는다.

 

벨저-뫼스트가 빈 필하모닉과 내한 공연을 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빈 필하모닉은 지난해 11월 리카르도 무티와 함께한 내한했고, 벨저-뫼스트는 상임 지휘를 맡고 있는 미국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와 함께한 2010년 내한 이후 12년 만에 한국을 찾는다.

 

빈 필은 3일 공연에서는 1부에 바그너의 오페라 ‘파르지팔’ 전주곡(Vorspiel)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교향시 ‘죽음과 변용’, 2부에서는 드보르자크의 교향곡 8번을 연주한다.

 

이튿날 공연에서는 1부에 브람스의 ‘비극적 서곡’과 교향곡 3번, 2부에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교향시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들려준다.

 

이번 내한 공연을 이끄는 벨저-뫼스트는 빈 필하모닉과 인연이 깊다.

 

바이올린을 전공한 벨저-뫼스트는 20세에 카라얀 문하로 들어가 지휘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90년 30세에 런던 필하모닉 수석 지휘자로 발탁됐고, 2002년부터 세계 정상급 관현악단인 미국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를 맡고 있다.

 

2010~2014년에는 카라얀 이후 오스트리아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빈 국립오페라 음악감독을 맡았고 이 기간 빈 필하모닉과 자주 호흡을 맞췄다. 세계 최고 지휘자들이 초청받은 빈 필하모닉 신년음악회를 2011년과 2013년 지휘했고, 내년 신년음악회에서도 지휘봉을 잡을 예정이다.

 

빈 필하모닉은 ‘황금빛 사운드’ ‘벨벳같은 우아함의 극치’ 등으로 표현되는 ‘빈필 사운드’로 유명하다. 빈 필하모닉이 만들어내는 고유의 음색과 음향을 유지하기 위해 빈 오보에, 욀러 클라리넷, 빈 호른, 로터리 트럼펫, 로터리 튜바, 슈넬라 팀파니 등 빈에서 개발됐거나 오랫동안 사용된 악기들을 19세기 후반부터 그대로 사용한다.

 

이번 내한 공연의 프로그램은 협연곡 없이 이러한 ‘빈필 사운드’를 뽐낼 수 있는 관현악곡들로 채워진다. 브람스의 교향곡 3번은 1888년 12월 한스 리히터의 지휘로 빈 필하모닉이 초연한 곡이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교향시는 ‘황금빛 사운드’를 가진 빈 필하모닉이 가장 잘 연주하는 레퍼토리로 정평이 나 있다며 기대해 달라고 기획사는 말했다.

 

[ 경기신문 = 유연석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