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22.1℃
  • 맑음강릉 27.1℃
  • 맑음서울 24.0℃
  • 흐림대전 22.1℃
  • 흐림대구 21.0℃
  • 흐림울산 20.3℃
  • 흐림광주 20.6℃
  • 흐림부산 20.9℃
  • 흐림고창 19.7℃
  • 흐림제주 21.0℃
  • 맑음강화 22.9℃
  • 흐림보은 19.2℃
  • 흐림금산 19.5℃
  • 흐림강진군 18.5℃
  • 흐림경주시 19.9℃
  • 흐림거제 19.2℃
기상청 제공

명절에 모여 즐기는 '윷놀이' 국가무형문화재 된다

문화재청 지정 예고…오랜 전승·역사 기록 풍부·연구 활용·지속 유지 등 이유

 

 

명절에 온 가족이 즐기던 '윷놀이'가 국가무형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윷놀이’를 신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했다고 26일 밝혔다.

‘윷놀이’는 양편으로 나뉘어 윷가락 4개를 던져, 윷가락이 엎어지고 젖혀진 상태에 따라 윷판의 모든 말을 목적지에 먼저 도달시키는 편이 이기는 놀이다.

 

정초(正初)부터 정월대보름까지 가족 및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전승·유지되어 왔으며, 산업화·도시화가 진행된 지금도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가치를 담은 대표적인 전통 놀이문화로 자리매김했다.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문헌에서는 ‘윷’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용어가 나오지 않지만, 나무로 만든 주사위를 던져서 승부를 다투는 백제시대의 놀이인 저포(樗蒲)와 동일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윷놀이에 해당하는 ‘사희(柶戲)’라는 용어가 나타났고, 조선시대 중·후기에는 ‘척사(擲柶)’라는 용어가 나타나 일제강점기와 현대에까지 널리 사용되는 용어가 되었다.

윷놀이는 특히 조선시대부터 학자들의 주목을 받아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김문표(金文豹, 1568~1608)는 윷판의 상징과 말의 움직임을 연구하여 '중경지'에 ‘사도설’을 기술하였고, 이규경(李圭景, 1788~1856)은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 ‘사희변증설’을 주장했다.

 

심익운(沈翼雲, 1734∼?)은 '강천각소하록'의 ‘사희경’에서 윷가락․윷판은 물론 놀이법까지 자세히 기술하기도 했다.

 

문화재청은  이처럼 ‘윷놀이’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한반도 내에서 전승되고 있다는 점 ▲'조선왕조실록'을 비롯 역사적 기록이 풍부하게 확인되는 점 ▲ ‘도·개·걸·윷·모’에 대한 상징성 등 학술 연구 주제로서 활용도가 높은 점 ▲가족 및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단절 없이 전승이 지속·유지되고 있는 점 등을 이유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할 가치가 있다고 했다.

 

다만, ‘윷놀이’는 한반도 전역에서 온 국민이 전승·향유하고 있는 문화라는 점에서 이미 지정된 ‘김치 담그기’, ‘장 담그기’ 등과 같이 특정 보유자와 보유단체는 인정하지 않기로 했다.

 

[ 경기신문 = 유연석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