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반도체 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내년부터 반도체 관련 학과가 있는 대학과 기업을 연계해 ‘공유대학’을 운영할 계획을 밝혔다. 연간 1000여 명의 부족 현상을 빚고 있는 경기도 내 반도체 전문인력 수급 상황을 완화하기 위한 이번 계획은 신선한 발상이라는 평가다. ‘공유’ 개념은 필요한 자원을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제성이 높은 아이디어다. 반도체 인력 양성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도 활용할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분석된다.
‘공유대학’은 반도체 관련 학과가 있는 대학들과 기업이 대학을 구성해 교육과정과 실습설비를 공유하고 참여기업 인턴십을 제공하는 등 현장 실무교육을 강화하는 개념이다. 도내에 있는 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위과정과 비전공대학생 및 현업재직자 등을 대상으로 한 비학위과정으로 나눠 위탁 교육을 시행하는 방식이다.
이와 함께 직업계 고교 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해 교원연수 과정을 운영하고 반도체 전문가와 교원 간 멘토-멘티를 지정해 교육과정을 컨설팅한다. 또 교육용 반도체 공정 장비와 계측 장비 등 공공교육 기반을 활용해 현장 실습을 실행하고 기업체 특강도 진행한다. 이를 위해 광교테크노밸리의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 ‘경기도 반도체 인력개발센터(가칭)’를 구축, 내년 1월 ‘공유대학’ 참여 신청을 받은 뒤 공모를 통해 선정할 예정이다.
도는 이를 통해 오는 2025년 12월까지 3년간 반도체 실무형 기술인력 660명 이상을 양성하는 게 목표다. 반도체 관련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만성적 결원과 보충 인력 부족이 반복되면서 전문성과 숙련도가 약화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조사한 2021년 기준 경기도 내 반도체 분야 인력 부족은 연간 1200여 명에 달한다.
‘공유’는 지난 2008년 하버드대학교의 로런스 레식 교수가 처음 사용한 ‘공유경제(Sharing Economy)’에서 새로운 개념이 정립된 바 있다. 공유경제란 이미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함께 공유해서 사용하는 협력 소비경제다. 자동차를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여러 지점에서 필요한 시간만큼 빌려 사용하는 카 셰어링(Car sharing)이 대표적인 사례다. 공유경제는 거래 당사자들이 이익뿐만 아니라, 거래 자체가 자원의 절약과 환경문제 해소를 가능하게 하여 사회 전체에 기여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반도체 인력수급 실태가 대만, 일본 등 경쟁국보다 매우 열악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반도체 및 전자분야의 인력 부족 비율은 고졸 44.4%, 전문대졸 15.3%, 대졸 32.3%, 대학원졸 8%로 집계되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 4월부터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을 비롯해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도내 대학 및 기업 등과 지속적인 논의를 진행, 내년부터 반도체 산업 전문인력 양성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됐다.
공유대학은 대학과 기업이 공생의 관계를 구축하는 윈-윈 전략으로서 작동할 기능성이 매우 높다. 이번 사업으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을 주도할 경기도 반도체 소·부·장 산업 생태계 육성이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해 산업 자립화와 기술개발 도약을 이루겠다는 경기도의 야심 찬 목표가 잘 달성되기를 기대한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속담이 떠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