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9.0℃
  • 맑음강릉 28.5℃
  • 구름조금서울 29.6℃
  • 구름조금대전 29.0℃
  • 구름많음대구 28.7℃
  • 구름많음울산 27.0℃
  • 구름조금광주 28.9℃
  • 구름많음부산 26.5℃
  • 맑음고창 29.0℃
  • 구름많음제주 25.1℃
  • 맑음강화 27.2℃
  • 구름조금보은 28.3℃
  • 구름조금금산 28.2℃
  • 구름많음강진군 28.5℃
  • 구름많음경주시 29.5℃
  • 흐림거제 26.3℃
기상청 제공

인천갯벌 세계자연유산 등재 가능할까…“기초자치단체 적극 참여로 주민 수용성 확보해야”

문화재청, 2단계 등재에 인천갯벌 포함 無
지역 주민, 기초자치단체 반대 커 진전 없어
유승분 시의원 “지자체 참여가 없어…행정력 집중‧방안 필요”

 

인천갯벌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서는 기초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민 수용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26일 인천시의회 의원총회의실에서 ‘인천갯벌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민간협력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박수택 전 SBS 환경전문기자가 좌장을 맡았으며, 문경오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추진단 사무국장과 정영진 람사르고창갯벌센터장, 류종성 안양대 해양바이오공학과 교수가 발제자로 나섰다.

 

토론에는 유승분 인천시의원(국힘‧연수3), 이현미 인천시 해양환경정책팀장, 지영일 인천갯벌2006 공동집행위원장 등이 참여했다.

 

현재 시는 2026년을 목표로 인천갯벌 세계자연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인천갯벌 유네스코 2단계 등재 작업을 위한 용역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지난 17일 문화재청은 2021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오른 한국의 갯벌을 확장하는 2단계 등재에 인천갯벌인 강화도‧영종도‧송도국제도시‧옹진군 섬은 포함하지 않았다.

 

지역 주민들과 기초자치단체의 반대가 크기 때문이다. 시와 문화재청은 주민들과 기초자치단체를 설득하고 있지만 진전된 부분은 없다.

 

문경오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추진단 사무국장은 “한국갯벌이 세계 최고 지역으로 인정받으려면 앞으로 강화도 등 인천갯벌의 추가 지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추가 지정 추진과 함께 자연유산을 보존하고 활용해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활성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등재 추진을 위해서는 이제라도 행정력 집중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유승분 인천시의원은 “실질적으로 인천갯벌 세계유산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행정력과 주민들의 참여가 필요한데 아직 덜 무르익은 분위기다”라며 “지자체 참여가 없는 상황에서 등재 추진을 위해서는 행정력 집중과 이에 대한 방안이 필요하다. 시의회도 다각적인 측면에서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이현미 인천시 해양환경정책팀장은 “주민수용성과 지자체 참여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에 동의한다”며 “시에서도 주민수용성과 지자체 참여율을 어떻게 높일까 고민하고 있다. 이미 갯벌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한 다른 지역의 사례를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