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1 (목)

  • 맑음동두천 10.3℃
  • 맑음강릉 12.0℃
  • 구름많음서울 11.6℃
  • 구름많음대전 11.5℃
  • 맑음대구 9.8℃
  • 맑음울산 10.8℃
  • 맑음광주 11.6℃
  • 맑음부산 12.4℃
  • 맑음고창 9.4℃
  • 구름조금제주 14.5℃
  • 구름많음강화 11.1℃
  • 구름조금보은 8.8℃
  • 맑음금산 10.5℃
  • 구름조금강진군 12.5℃
  • 맑음경주시 7.4℃
  • 맑음거제 11.1℃
기상청 제공

[오동진의 언제나, 영화처럼] 김한민의 영화 '노량' 대박 예감! 비결은 '이순신의 북소리'

142. 노량- 김한민

 

김한민의 역작 ‘노량 : 죽음의 바다’는 서사(敍事)의 협공과 그 전략이 뛰어난 작품이다. 흔히들 이 영화는 해상 전투 신의 압도적인 비주얼이 최대 장점이자 볼거리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총 152분의 러닝 타임 동안 이렇다 할 전투 장면은 70분이 지나가도록 나오지 않는다.

 

그 비교적 긴 시간을 김한민은 임진왜란 7년의 전쟁이 갖는 의미, 그것이 어떻게 노량의 전투로 이어지는가를 보여 주려 애쓴다. 그건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읽혀져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말과 생각이 굉장히 중요한데 김한민은 그 ‘논리와 사고’를 위해 얼마나 자신이 연구에 연구를 거듭했는가를 촘촘히 보여 주려 애쓴다.

 

 

핵심적인 화두는 이순신 역의 김윤석이 해내는 대사이다. 이순신은 조명(朝明) 연합 수군의 명나라 측 총 도독인 진린(정재영)이 이제 그만 적당히 저들, 왜군에게 퇴로를 열어 주자는 제안에 대해 끊임없이 같은 말을 반복한다. “이번에야말로  저들을 완전히 섬멸시켜야 합니다.”

 

그는 부하들에게도 같은 말을 똑같이 한다. 부하들 중 충성스러운 장수인 송희립(최덕문)마저도 이제 이미 이긴 전쟁이니 더 이상의 희생은 그만했으면 한다. 그런 그에게 이순신은 말한다. “아직도 내 뜻을 모르겠느냐. 이번에 완전히 끝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이 전쟁은 결코 끝나지 않는 것이느니라.”

 

 

관객들 상당수가 놓치고 있지만 엔딩 타이틀이 다 올라간 후에 나오는 일명 쿠키 영상에서는 광해군(이제훈)이 나온다. 노량 앞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그에게 권율(남경읍)이 찾아와 “세자 저하. 이제 왜란이 끝났습니다.’라고 말하자 광해는 매우 의미심장한 답변을 한다.

 

“모르겠소? 이건 왜란이 아니외다. 전쟁이었소.” 이 부분은 보는 이들로 하여금 상념에 젖게 한다. 김한민 감독이, 임진년에 일어난 조선과 일본 간의 전쟁을 왜란(倭亂)이라고 하는 건 일종의 비하(卑下)라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부분이다.

 

이때의 전쟁을 ‘왜란이 아니라 전쟁으로’ 잘 이해해야 이후 일본 제국주의와 그 실체인 정한론(征韓論)의 배경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임진왜란, 임진년의 전쟁을 국제 정세의 큰 틀에서 봐야 한다는 것이 이번 영화 ‘노량 : 죽음의 바다’의 진짜 내용이고 감독이 짜놓은 서사와 전쟁 신이라는 협공을 통해 관객들에게 전하려는 메시지의 실체이다.

 

 

영화의 오프닝이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죽음인 이유가 그 때문이다. 히데요시의 죽음은 일본 내부에 필연적인 권력 다툼을 예고하는 것이고 그 중심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있을 것이다. 히데요시의 세력은 나중에 서군으로(그들의 본거지는 원래 오사카였고 히데요시는 거대한 오사카 성을 축조해 그 안에서 살았다.)

 

이에야스 파는 동군으로(나중에 에도, 곧 도쿄에 막부를 연다.) 무장하고 세키가하라에서 대 혈투를 벌인다. 지금의 기후 현(県) 일대이다. 기후 현에는 나고야 시가 있다. 이게 1600년이고 노량 해전이 벌어진 때는 1598년이다. 조선 남부에 진을 치고 있던 일본의 두 수장, 소서행장들은 고니시 유키나가(이무생)와 시마즈 요시히로(백윤식)이다.

 

당연히 둘 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수하들이며 反 도쿠가와 이에야스 파 들이다. 이들 중 세키가하라에서 살아남은 시마즈 요시히로는 나중에 사쓰만의 자기 번에서 세력을 키운 후 그 위의 조슈 번과 동맹을 맺고 이에야스 막부에 맞선다.

 

이들의 ‘삿초 동맹’은 천황 중심의 실질적 중앙집권 체제의 구축을 계획하는 메이지 유신을 일으킨다. 천황 중심의 친위 쿠데타이다. 이 세력 한가운데의 인물이 바로 이토 히로부미이다. 임진왜란이 아니라 임진년의 조일 전쟁의 내면에 일본 제국주의의 흐름이 어떻게 조성되고 있었는 가를 아는 건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래서 김한민은 이순신의 대사에 “이번 전쟁은 여기서 반드시 끝을 내야 한다”는 말을 넣은 것이며 이순신뿐만 아니라 총명했던 광해의 입을 통해서도 “아직도 (그 의미를) 모르겠소”라며 반문하고 있는 것이다.

 

 

행상 전투 신의 극한 체험은 수많은 배가 학익진을 펼치거나, 이순신의 전투 선박들이 일본이 짜놓은 대열의 허리를 끊고 들어가는 장면이거나, 후미를 공격하는 모습이거나 하는 등등이 아니다. 결코 흔히들 생각할 수 있는 CG의 극대화를 통해 보여지는 것이 아니다.

 

김한민이 창조해 낸 해상 전투 신의 진정한 쾌감은 거의 후반 마무리 즈음에 나온다. 조선과 일본 수군은 양측 모두 정면 공격을 감행하고 접선(接船)으로 충돌을 일으킨 다음 양측 병사 모두가 엉켜 어느 쪽이라고 할 것도 없이 양쪽 배 위 모두에서 백병전을 벌이는 장면이다.

 

이 장면을 김한민과 촬영감독 김태성은 ‘원 씬 원 컷 롱 테이크’로 찍어 냈다. 카메라를 한 번도 끊지 않고 하나의 컷으로 이어 가면서도 이를 핸드 헬드(들고 찍기)로 촬영한 것이다. 어마어마한 고난도의 촬영이며 이런 그림을 만들려면 감독의 완벽한 디자인이 사전에 머릿속에서 이미 짜여야 한다. 배우 모두와의 합이 절대적인 건 기본이다. 한 번의 NG는 처음부터 다시 찍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장면이 좋은 진짜 의미는 ‘무명의’ 병사들이 벌이는 생존의 살륙전을 보여줌으로써 임진 전쟁이 얼마나 잔혹하고 비극적이었는가, 그걸 넘어 전쟁 자체가 갖는 희생이 얼마나 큰 것인 가를 육체의 언어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원 테이크 신’을 보여 준 후 김한민은 그 지옥의 싸움을 내려다보는 이순신의 얼굴을 클로즈업해 커트한다. 그리고 다시 치열한 싸움을 벌이는 병사들을 바라보는 이순신의 시점을 쇼트로 커트한다. 김한민은 이순신의 얼굴에 살육의 비극을 바라보는 복잡한 심정의 표정을 담아낸다.

 

근데 그 표정과 이순신의 반복되는 대사 ‘이번에 이 전쟁을 반드시 끝내야 한다’는 것은 오히려 상충되는 듯 보인다. 살육을 통해 살육을 끝내겠다는 그 이율배반의 철학이야 말로 이순신이 지닌 궁극의 전쟁 철학이었음을 영화는 밝혀 내고 있다.

 

이순신 노량 해전의 의미는 거기서 나온다. 전쟁으로 전쟁을 끝낸다! 그리하여 전쟁을 할 때는 때론 끝까지 싸워야 한다는 것, 중도에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곧 전쟁을 끝내지 않겠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조선 내의 주전론과 화친론 사이의 전쟁 철학의 차이를 그려 내고 있다.

 

 

얼마나 윤색이 된 것인지는 모르지만 이순신이 전투를 독려하며 치는 북소리는 영화 후반부의 극장 안을 휘어 감는다. 일본의 시마즈 요시히로는 이 북소리 때문에 미쳐 간다. 그는 귀를 틀어막으며 ‘누가 저 북소리 좀 멈추게 하라’며 구토를 한다.

 

이순신의 북소리는 이 영화의 클라이맥스이다. 관객들 역시 영화가 끝난 후에도 여전히 귓가를 울리는 그 북소리에서 자유롭지 못한 자신들을 발견한다.

 

상업영화가 가져가야 할 여운의 극대화를 이만큼 살려 내기란 쉽지 않은 일이고 김한민의 노련한 연출은 그 점을 충분히 염두에 뒀던 것으로 보인다. 이 영화의 흥행이 또다시 성공의 수치로 육박해 갈 수 있다면 그건 순전히 영화 속 이 이순신의 북소리 때문이다.

 

 

셋째 아들 이면(여진구)의 죽음과 그에 대한 죄책감에 시달리는 이순신의 내면을 담아내는 방식도 특이하다. 이순신은 자주 아들에 대한 꿈을 꾼다. 방 씨 부인(문정희)은 그런 그를 두고 방을 나서면서 말한다. “아들은 죽어서도 아비 곁으로 오는군요. 다음에 또 만나면 이제는 어미한테도 좀 오라고 얘기해 주시구려.”

 

임진년의 전쟁이 모성과 여성성에 얼마나 큰 상처를 냈는가를 보여 준다. 이번 영화에는 문정희처럼 그렇게 한 신만 나오는 배우들이 적지 않은데 아들 이면 역의 여진구가 나중에 이순신의 환상 속에 나와 ‘아버님 너무 힘들어 하지말라’고 말할 때 사람들은 울컥하는 심정이 된다.

 

 

이순신 한 명에게만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지 않고 정재영이 맡은 진린의 캐릭터라든가, 항왜 준사 역의 김성규, 송희립 역의 최덕문, 심지어 일본 장수 시마즈 역의 백윤식까지 캐릭터들을 매우 입체적으로 다뤄 냈다는 점은, 이 영화가 균등의 미학에 얼마나 치중했는가를 보여준다. 그 점이 좋다.

 

김한민의 이순신 3부작 중 이번 노량은 단연 최고의 작품이다. 감독은 영화를 만들면서 자신의 영화를 통해 진화하고 진보한다는 진리를, 김한민은 이번에 톡톡히 보여 준 셈이다. 그의 ‘임진 전쟁’에 대한 행보, 새로운 해석이 어떻게 이어질지 궁금해진다. 그것도 매우.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