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2 (토)

  • 흐림동두천 21.5℃
  • 흐림강릉 23.1℃
  • 서울 22.9℃
  • 대전 22.9℃
  • 대구 22.6℃
  • 울산 22.5℃
  • 광주 24.0℃
  • 부산 22.7℃
  • 흐림고창 23.5℃
  • 제주 25.7℃
  • 흐림강화 21.7℃
  • 흐림보은 22.7℃
  • 흐림금산 22.6℃
  • 흐림강진군 23.5℃
  • 흐림경주시 24.1℃
  • 흐림거제 23.3℃
기상청 제공

[사설] 올 여름 폭염, 취약계층 적극 보호해야

무더위로 일사병 등 질환 우려, 선제적 대응 필요

  • 등록 2024.06.13 06:00:00
  • 13면

10~11일 밤사이 강릉에서 올해 첫 열대야가 관측됐다. 지난해보다 18일 이른 것이다. 11일엔 용인 등에 지난해보다 일주일 빠른 폭염주의보가 발효됐다. 기상청은 지난달 23일 올해 6월과 8월은 기온이 평년기온과 비교해 높을 확률이 50%, 비슷할 확률이 30%라고 전망했다. 7월의 경우가 그나마 나을 것이라고 예측했는데 평년기온보다 높을 확률과 평년기온과 비슷할 확률이 각각 40%였다.

 

인공지능(AI) 머신러닝 등을 통한 예측 결과도 마찬가지였다. 지난 7일 열린 기상청 기상강좌에서 이명인 울산과학기술원 폭염연구센터장은 장단기메모리(LSTM) 통계모형 예측 결과 올여름 폭염(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이 평년(10.2일)보다 많이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게다가 호우도 예상돼 걱정거리가 더 늘었다. 인도양 해수면 온도가 지난겨울에 이어진 엘니뇨로 크게 올랐고 엘니뇨가 끝났음에도 식지 않아 올 여름 동아시아 강수량을 늘린다는 전망이다. 이 센터장은 엘니뇨로 북대서양에 '삼극자 패턴'이 형성돼 열대 북대서양 해수면 온도가 상승, 7월에 많은 비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따라서 "폭염과 호우가 동시에 나타나는 복합재해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주거취약계층에게 폭염은 재난이나 다름없다. 벌써부터 무더위의 기세가 심상치 않고 ‘역대급’ 폭염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들의 여름나기가 크게 걱정된다. 정부 차원의 지원 대책이 시급하다. 이에 경기도는 지난달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폭염 대책기간으로 정해 도내 취약노인과 옥외작업장 등 취약분야 집중 안전관리를 위한 상시대비 체제에 돌입했다.

 

도가 마련한 ‘폭염종합대책’은 위기관리매뉴얼에 근거(주의→경계→심각), 상황 관리를 실시하고 위기경보 수준에 따라 합동전담조직(TF) 운영·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한다는 것이다. 폭염경보 지속일수 기준도 기존 3일에서 2일로 변경했으며 93개 응급실을 활용한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구축했고, 119 폭염구급대(281대)를 확충했다. 그늘막 등 폭염저감시설을 확충하고, 취약계층 예방물품 지급 등 현장지원을 강화하기위해 도 재난관리기금 20억 원, 재난안전 특별교부세 18억 원 등 총 83억 원을 신속 집행한다. 실내 무더위쉼터 554개소를 추가 지정해 총 8288개소를 개방하고, 이동노동자 쉼터를 80개소 확대, 아파트 경비·청소노동자 휴게시설 392개소도 개선키로 했다.

 

인천시도 거리 노숙자와 쪽방 주민 보호를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6월1일부터 9월30일까지 폭염 등에 취약한 거리 노숙자와 쪽방 주민을 위해, 주야간 순찰 확대, 무더위 쉼터 개방 등 보호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시는 위기 노숙지를 조기에 발견하고 보호하기 위해, 군·구 및 노숙자 시설과 현장대응반을 편성하고 순찰을 강화하는 등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비상 근무조를 편성하고, 얼음물이나 냉방 물품 등 후원 물품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시설 입소를 원치 않는 노숙자에게는 고시원과 연계한 임시주거를 최대 3개월까지 지원한다.

 

아무쪼록 노숙자, 노약자, 야외 작업자 등 폭염 취약계층취약계층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폭염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속하고 촘촘한 폭염 대응 체계를 확립하기 바란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