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남시가 원도심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해 본격 나섰다. 시는 수정·중원지역 내 개인하수처리시설 416곳을 대상으로 오는 10월 말까지 전수 점검을 실시한다고 16일 밝혔다.
대상은 대규모 정화조 334곳과 하루 20톤 이상 오수를 처리하는 오수처리시설 82곳이다. 시 관계자는 “시설 대부분이 상가, 아파트 등 생활 밀접 지역에 위치, 악취 관리가 시급한 상황’이라 전했다.
점검은 공무원 3명으로 구성된 전담반이 현장을 방문해 공기공급장치의 설치 여부와 작동 상태, 정화조 청소 이행 여부 등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아울러 방류조와 토출구의 악취 농도 측정도 병행된다.
점검 결과 미이행 사항이 발견될 경우 시설주에게 개선명령을 내리거나 최대 1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또, 개선 조치 후에는 이행보고서를 제출받아 악취 요인이 완전히 해소될 때까지 사후 관리를 이어간다.
성남시는 지난 3월 4일부터 해당 점검을 시작했으며, 현재까지 250곳 이상(전체의 60% 수준)을 점검 완료한 상태다. 민원이 집중된 지역은 수시 점검도 병행해 민감 지역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원도심은 하수관로 구조상 악취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라며 “지속적인 점검과 개선으로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정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