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3 계엄사태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비상계엄 선포 전 국무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던 박상우 전 국토교통부 장관을 소환했다.
21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박상우 전 국토교통부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 추가 소환을 하루 앞두고 박 전 장관을 상대로 국무회의 소집 당시 한 전 총리가 맡은 역할 등을 캐물을 것으로 보인다.
박 전 장관은 비상계엄 선포 직전 국무회의 개의에 필요한 정족수를 맞추기 위해 윤 전 대통령이 추가로 호출하라고 지시한 6명의 국무위원 중 한 명이다.
다만 박 전 장관은 비상계엄 선포 전 국무회의는 불참했으며, 국회에서 계엄 해제가 가결된 뒤 열린 국무회의에만 참석했다. 당시 그는 대통령실 행정관으로부터 '대통령실로 들어와 달라'는 구두 요청을 받았으나 교통 문제 등의 이유로 실제 회의에 참석하지는 못했다고 주장했다.
특검팀은 신용한 전 서원대 석좌교수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그는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 일가의 측근 김모 씨와 연관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인물이다. 과거 김 씨가 주최한 전시회에 노 전 사령관이 후원금을 낸 이력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특검팀은 국회 계엄 해제 의결 방해 의혹에 대한 자료를 제출받기 위해 국회사무처를 압수수색했다.
특검팀은 추경호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 등이 윤석열 전 대통령 측 요청에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하는 방식으로 국민의힘 의원들의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계엄 선포 직후 추 당시 원내대표는 비상 의원총회를 소집하면서 장소를 국회로 공지했다가 여의도 당사로 변경했다. 이후 소집 장소를 다시 국회로 공지했다가 여의도 당사로 또 한 번 변경했다. 이로 인해 다수의 국민의힘 의원은 당시 계엄 해제 의결에 참석하지 못했고, 국회의 해제 요구 결의안은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90명이 참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석 190명·찬성 190명으로 가결됐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