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는 오는 18일 수능 이후 청소년들의 유해환경 노출이 우려되자 원도심·미사·감일 등 3개 권역에서 민·관·경 합동 청소년 유해업소 단속에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단순 단속이 아닌 지역 생활권별 유해환경의 구조적 위험 요인을 진단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는 청소년 출입이 잦은 생활권과 무인점포가 빠르게 확산된 지역을 중심으로 사전 예방 중심의 점검 체계를 마련했다.
합동단속에는 시청 부서를 비롯해 하남경찰서, 학부모폴리스, 청소년기관, 범죄예방위원 등 총 12개 단체가 참여한다.
기존 경찰·공무원 중심의 점검에서 벗어나 민간과 지역단체 참여를 확대해 현장 대응력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원도심은 숙박업소, 호프집, 룸카페 등 내부 구조 확인이 힘든 밀집한 지역으로, 여성아동과와 범죄예방위원 등 인권·보호 분야 전문 인력을 중심으로 구성된 1조가 집중 점검한다.
시는 야간 조도가 낮고 골목 지형이 복잡해 청소년 유입 감시가 취약하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미사신도시는 하남에서 가장 빠르게 무인점포가 확산된 지역이다. 무인 전자담배점, 무인 성인용품점 등은 직원 부재로 청소년 출입 통제가 어렵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하남경찰서, 학부모폴리스, 상담복지센터 등이 참여한 ‘현장 대응형’ 2조가 배치된다.
감일지구는 청소년문화의집–편의점–PC방–학원가가 한 블록 내에 밀집한 청소년 친화 생활권으로 꼽힌다.
이 지역은 감일청소년문화의집이 3조 단독팀으로 편성돼 청소년 이동 동선을 중심으로 점검을 실시한다.
이번 합동 점검 항목은 기존 전통 유해업소에서 더 확장됐다.
시는 멀티방, 룸카페, 무인점포 등 신·변종 업태로 대상을 넓히고 ▲무인 전자담배점·성인용품점 성인 인증 ▲노래방·PC방·찜질방 야간 출입시간 준수 ▲업소 대상 술·담배 판매 예방 안내 및 포스터 배부 등을 집중 점검한다.
이번 합동단속은 처벌보다 예방에 방점을 두고 있다. 시 관계자는 “수능 이후 청소년 야간 활동이 늘어나고 사행성·호기심이 높아지는 시기라는 점에서 사전 차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현재 하남시장은 직접 합동단속에 참여해 청소년 보호 정책을 시정 우선과제로 제시했다.
시는 올해 하반기부터 강화되는 정부의 청소년 유해환경 관리정책과 연계해 ‘청소년 안전을 시정 1순위로 삼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이 시장은 “점검이 지역별 유해환경 구조 분석, 신·변종 업소 대응, 민·관·경 네트워크 기반 구축 등 여러 측면에서 의미 있는 진전”이라며 “지속적 관리체계를 마련해 청소년 보호정책의 전환점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김태호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