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는 수도권 6만3천751가구 등 새 아파트 공급량이 올해보다 11% 정도 늘어날 전망이다. 닥터아파트는 주택건설업체 190개를 대상으로 2013년 공급 계획을 조사한 결과 모두 12만4천929가구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11만2천285가구보다 11.26% 늘어난 수치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105개 단지, 6만3천751가구 ▲지방 5대광역시 36개 단지, 2만5천772가구 ▲지방중소도시 49개 단지, 3만5천406가구 등이다. 주택경기 침체가 장기화함에 따라 수도권 공급량은 올해보다 5천819가구(8.36%) 줄어들겠지만 지방은 세종시 등에서 공급이 지속돼 물량이 늘 전망이다. 또 서울은 올해에 이어 재개발과 재건축이 강세다. 내년 분양을 앞둔 1만1천528가구 가운데 7천549가구(65.4%)가 도시정비사업 물량으로 재개발이 5천576가구, 재건축은 1천973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특히 경기도는 모두 4만7천346가구 가운데 2만4천776가구(52.3%)가 수원·용인·화성·평택 등 남부권에 집중됐다. 수원은 3천952가구, 용인은 4천5가구, 화성은 동탄2신도시 9천943가구 등 1만2천395가구, 평택은 4천424가구 등 분양 성황을 이
이명박 정부의 공공임대주택 건설 실적이 지난 1988년 이후 5대 정부 가운데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www.serve.co.kr)는 공공임대주택 건설 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공공임대주택 건설 실적은 6만6천796가구로 1994년 이후 가장 적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실적은 최고치를 기록한 2007년 14만6천565가구의 반토막에도 못 미쳤다.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실적은 34만8천965가구로 올해 실적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일 거라는 전망을 감안하면 이명박 정부의 공공임대주택 건설 실적은 41만여 가구 안팎으로 노태우 정부 때와 비슷하거나 더 적을 것으로 관측된다. 공공임대주택 건설 실적은 주택건설사업자가 공공택지와 기금 등 지원을 받아 주택건설사업을 시행할 때 시장과 도지사 또는 국토해양부 장관으로부터 사업계획 승인을 받은 것을 말한다. 각 정부별 공공임대주택 공급 실적은 ▲노태우 정부(1988~1992년) 41만8천307가구 ▲김영삼 정부(1993~1997년) 41만9천237가구 ▲김대중 정부(1998~2002년) 48만8천287가구 ▲노무현 정부(2003~2007년) 54만5천882가구 등이다. 노태우 정
올 한해 중소기업의 성장과 발전,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어온 경기도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경기신문사가 주최한 제6회 경기중소기업경영대상 시상식이 지난 21일 경기문화재단 3층 다산홀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관련기사 14면 이날 시상식에는 이재율 경기도 경제부지사, 김종국 경기지방중소기업청장을 비롯해 김봉한 고용노동부 경기지청장, 박해진 경기신용보증재단 이사장, 이중구 경기도경제단체연합회 회장, 김양택 한국자산관리공사 경기지역본부장, 이형주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지역본부장, 이진호 한국무역협회 경기지역본부장, 이한철 중소기업진흥공단 경기지역본부장, 오철우 신용보증기금 경기지역본부장, 이용훈 기술보증기금 수원본부평가센터 본부장, 최재한 중소기업중앙회 경기지역본부장등이 참석했다. 또한 김창규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경영지원본부장, 최광수 농협 경기지역본부 부본부장, 홍지호 수원상공회의소 부회장, 박성권 중소기업융합 경기연합회장, 윤윤식 경기중소기업연합회 수석부회장을 포함해 이상원 경기신문 대표이사 및 김갑동 사장 등 기업지원 유관기관 관계자와 기업인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이상원 대표이사는 인사말에서 “수상기업에게 축하와 감사의 인사를 드리며, 우수한 중소
“사상 최대의 위기에 놓인 경기지역 전문건설업계에 변화와 혁신의 바람을 불어넣겠습니다.” 지난 21일 수원 호텔캐슬에서 열린 대한전문건설협회 경기도회 회장 취임식에서 박원준(62·한일포장건설·사진) 신임 회장은 취임 일성을 이같이 밝히고 “100억원 미만 공사의 실적단가 적용 폐지, 주계약자 공동도급제 이행 등의 제도적 현안을 2013년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이를 개선하겠다”는 방안을 내놨다. 앞서 경기도는 100억원 미만 공사의 실적단가 적용 폐지, 주계약자 공동도급제 이행 등의 조례를 개정했으나 도내 일부 시·군에서 이를 지키지 않아 전문건설업계의 일거리가 위축됐다. 박 회장은 “도내 전문건설업계를 위한 여러 조례가 개정됐지만 일부 시·군이 이를 반영하지 않아 업계의 고충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며 “이를 개선키 위해 도내 31개 시·군의 관련 조례 이행 상태를 상시 모니터링하는 태스크포스(T/F)팀을 내년 1월 개설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T/F팀은 관련 전문가 6명과 31개 시·군협의회의 회장
경기지역 가구당 평균 자산액이 3억8천여만원으로 서울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23일 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함께 발표한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결과’에 따르면 2012년 3월 말 기준 도내 가구당 자산액은 3억8천198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평균(3억1천495만원) 보다 약 7천만원 높은 규모로 서울(4억5천647만원)에 이어 두 번째다. 도내 평균 저축액은 6천472만원으로 서울(6천549만원)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전·월세 보증금은 2천953만원에 그쳐 서울(4천942만원)과 약 2천만원 격차를 보였다. 인천은 가구당 자산액이 2억6천402만원으로 16개 시·도에서 7위를 기록했다. 저축액과 전·월세 보증금은 각각 4천646만원, 1천644만원을 나타냈다. 도내 가구당 부채액은 7천394만원으로 16개 시·도 가운데 서울(7천953만원)과 함께 7천만원 선을 유일하게 돌파했다. 인천은 5천269만원으로 부채액이 세번째로 높았다. 도내 가구당 부채액은 금융부채(5천255억원)의 비중이 가장 높았는데, 이 중에서도 담보대출(4천367만원)이 83%를 차지했다. 인천은 4천37만원의 금융부채 중 76%(3천270만원)가 담보대출로 조
앞으로 환율이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수출 중소기업이 이에 대해 준비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시됐다. 23일 중소기업연구원이 발표한 ‘최근 원화 환율의 하락 원인 및 향후 전망’에 따르면 유로존 체제 붕괴 위험 완화, 선진국의 통화 부양책 공조, 국내 외환 건전성 개선, 풍부한 외화 유동성 등으로 환율이 달러당 1천∼1천50원까지 추가 하락할 여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미국의 재정절벽(fiscal cliff) 위험, 유럽 위기 관련 불확실성의 지속, 선진국의 대규모 통화 부양책에 따른 부작용 가능성 등으로 외환 변동성은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중기연은 전했다. 중기연 관계자는 “이에 중소기업은 환율변동위험 관리를 강화하고 환 변동 보험 가입을 고려해야 하며, 정부는 환 관리 실태를 체계적으로 점검하는 한편 외환 변동으로 일시적으로 자금 경색에 노출된 중소기업에 무역금융 기능을 확대 적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지난 21일부터 국민주택기금 대출 금리가 0.3~0.9% 인하됨에 따라 관련 대출상품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부동산써브가 수도권 아파트를 대상으로 국민주택기금 대출금리 인하 수혜 가구 수를 조사한 결과, 생애최초 구입자금 255만279가구, 근로자서민 구입자금 171만6천792가구, 근로자서민 전세자금 267만8천497가구로 집계됐다. 생애최초 구입자금 대출은 금리가 4.20%에서 3.80%로 낮아졌다. 내년 1월부터 적용되는 소득요건은 부부합산 연소득 5천500만원 이하의 생애최초 주택구입자로, 전용면적 85㎡이하 및 6억원 이하 주택 구입 시 최대 2억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수혜 가구는 경기도 141만4천645가구, 서울 78만236가구, 인천 35만5천398가구다. 근로자서민 구입자금은 5.20%에서 4.30%로 금리가 인하됐다. 소득요건은 부부합산 연소득 3천만원 이하에서 4천만원 이하로 완화됐고 경기도 142만2천170가구, 서울 90만1천61가구, 인천 35만5천266가구가 수혜 대상이다. 전세자금 대출 금리는 4.00%에서 3.70%로 내렸다. 소득기준은 세대주 연소득 3천만원 이하에서 부부합산 연소득 4천만원 이하로 변
올해 유통업계 최대 이슈로 ‘대형마트 영업규제 논란’이 선정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유통업계 CEO와 학계·연구소 등 유통전문가 100여명에게 ‘2012년 유통업 10대 이슈’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0%가 이 문제를 가장 큰 뉴스로 꼽았다고 23일 밝혔다. 대한상의는 “지난 4월부터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의무휴업·영업시간 제한을 두고 대·중소유통업체 간 갈등이 고조되면서 업계의 핫이슈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 논란은 대형마트와 SSM이 2015년 말까지 각각 인구 30만, 10만 미만의 중소도시에서는 신규 출점을 자제하기로 하고, 이달 12일부터 월 2일 이내의 자율휴무를 시행함에 따라 다소 수그러든 상태다. 그 다음 이슈로는 대·중소업체 간 공정거래 논란(47.5%)이 선정됐다.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을 중심으로 골목상권의 상생, 경제민주화 논쟁이 거세지면서 대형 유통기업과 중소납품업체 간 불공정 거래 관행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에 유명 백화점과 대형마트는 지난해 10월 중소납품업체의 수수료를 3~7%p 내린 데 이어 지난달에도 1~2%p를 추가 인하한 상황이다. 대형마트·백화점 매출액 반토막(42.5%), 모바일쇼핑앱 이용자수 월
내년 국내 설비투자는 올해보다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500개 제조사를 대상으로 ‘2013년 설비투자계획’을 조사한 결과, 내년 설비투자 규모가 올해보다 평균 1.3% 늘어날 것으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올해 투자실적은 지난해에 비해 평균 1.0% 감소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이 4.5% 늘어나는 반면, 중소기업은 0.4%에 그쳤다. 업종별로는 노후시설 교체수요가 많은 ‘음식료·생활용품’(9.0%), ‘고무·플라스틱·종이’(8.2%), ‘기계·정밀기기’(8.1%), ‘자동차’(7.0%) 등은 투자가 증가할 전망이다. 그러나 세계경기 침체의 영향을 많이 받은 ‘석유·화학·에너지’(-12.4%), ‘철강·금속’(-8.8%) 등은 감소가 예측됐다. 내년 투자확대에 가장 큰 애로사항은 ‘향후 경기전망 불확실성’(71.6%)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자금조달 애로’(20.8%), ‘신규투자처 부족’(4.6%), ‘각종규제’(2.6%) 등의 순이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수출둔화와 내수침체 등으로 기업의 투자여력이 줄어 올해 설비투자 실적이 저조했다”며 “기업들이 내년에도 경기불확실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면서 설비투자규모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