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22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2021년 지적재조사사업 평가’에서 전국 기초자치단체 부문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돼 기관 표창을 받았다. 정부세종청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시상식은 전국 광역·기초 지자체의 지적재조사사업을 점검·평가한 후 ‘지적재조사 책임수행기관 제도’ 도입에 따른 선행사업 추진 등 실적이 우수한 지자체를 우수기관으로 선정했다. 수원시는 책임수행기관 제도를 선제적으로 도입해 책임수행기관(LX)과 민간업무를 구분해 업무를 분담하고, 지적재조사지구 지정 절차를 개선해 공로를 인정받아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17년 7월부터 지적(地籍)재조사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현재까지 장안구 파장·이목지구 권선구 벌터·자목지구 등 7개 지구 1991필지의 지적재조사를 완료했다. 2012년 시작된 국토교통부 지적재조사 사업은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부정확한 종이 지적을 위성측량을 활용한 디지털 지적으로 전면 전환해 지적불부합지를 해소하는 것으로 2030년까지 추진하는 국책사업이다. 수원시는 올해 국토교통부 기본계획 변경에 따라 수원시 종합계획을 재검토하고 책임수행기관 시행 등 환경변화와 사업단계에 맞춰 지난 9월 1일 수원시 종합계획을 변경 수립·고시했다. 지
지난 1995년 12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던 수인선이 지난해 25년 만에 완전 개통했다. 특히 수인선 구간 중 수원시 구간이 지하화되면서 상부공간을 시민들이 산책로로 이용할 수 있게 조성했다. 수인선이 개통된 지 1년. 편리해진 서수원의 교통과 수인선의 상부공간을 확인해 본다. ◇수송의 역사와 함께 달린 수인선 수원과 인천을 잇는 수인선은 역사의 궤적을 따라 달렸다. 침탈이 극심하던 일제 강점기, 경기 동부지역에서 생산되는 쌀과 경기만 염전지대에서 만든 소금 등을 일본으로 반출하기 위해 탄생한 노선이 수인선이다. 궤도 간격이 표준보다 좁은 협궤선으로, 총 52㎞ 구간에 17개 정거장으로 시작됐다. 초기에는 주로 화물을 수송했으나 점차 여객 기능도 증가해 수원~화성~안산~시흥~인천이 교류하는 주요 수단이 되면서 ‘꼬마열차’라는 애칭도 얻었다. 수인선은 1970년대 급격한 도시개발이 진행되면서 존폐의 기로에 섰다. 도로망이 확충되는 가운데 1977년 수원~인천 간 산업도로가 개통하고, 화물 운송 기능이 도로교통으로 이동하면서 수인선은 폐선의 길을 피할 수 없었다. 결국 1977년 9월부터 화물 수송이 중단되고, 제한적인 여객 수송만을 담당하다가 1995년 1
오는 2026년부터는 수원에서 강남까지 26분이면 오갈 수 있다. 기존 1시간이 넘었던 거리와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한 것이다. 이러한 점이 대형 호재로 작용해 수원지역 부동산 시장도 전례 없는 활기를 띄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12월 16일 GTX-C노선에 대한 민간투자사업 지정과 시설사업기본계획(RFP)안이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를 통과했다고 발표하면서 C노선 공사도 급물살을 타고 있다. 수원시는 GTX-C노선을 통해 서울 바로 옆 주요 도시, 새로운 교통 요충지로 거듭나게 됐다. ◇ 꿈의 열차 GTX 시작점이 된 수원 경기 남북부와 서울을 연결하는 2300만 서울·수도권 시민의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꿈의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GTX, 이 중 C노선의 시작점이 된 수원은 공격적인 개발과 준비로 GTX를 출발시킬 준비를 톡톡히 하고 있다. GTX 사업 구상이 수면 위로 떠오르던 2014년부터 꾸준히 조기 착공을 염원해 온 수원시민들도 이번 시설사업기본계획안 통과와 민간투자사업자 공모 소식에 한껏 고무돼 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GTX-C노선 등 광역철도망과 102개 버스 노선이 교차하는 수원역에 2025년까지 환승센터를 완공하고 버스정류장을 통합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경영난을 겪고 있는 지역 버스노조가 파업을 예고하며, 4차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에서 버스업계를 포함해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버스 업체가 제외될 경우 심각한 고용불안 상황이 발생해 교통대란으로 이어진다는 지적이다. 서종수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위원장과 경기지역 자동차노동조합 등 12개 지역노조는 22일 '4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요구하는 결의문'에서 "정부가 4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결정하지 않을 경우 승무 거부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해 총력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3차례 재난지원금이 지급됐지만, 버스업계는 대상에서 제외돼 한차례도 지원 받지 못했다. 지역노조는 "지난해 2월부터 올해 1월까지 매출액의 감소가 시외버스 70.9%, 고속버스 65.2%, 시내버스 28.8%로 심각한 상황"이라며 "정부와 정치권에서 최소한의 지원마저 외면한다면 노사 간 극심한 갈등이 불가피하고 이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국민들의 피해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재난지원금 지급이 이뤄진다면 지원금이 인건비 등으로만 사용되도록 정부의 철저한 관리·감독이 있어야한다는 것이다. 이들 노조는 버스 준공영제 지역(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
나흘 간 이어진 설 연휴 마지막 날인 14일 전국 고속도로는 귀경길 차량이 몰려 일부 구간이 정체됐지만, 전날에 비해 원활한 교통 흐름을 보였다. 한국도로공사(도로공사)는 이날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이 349만대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날 교통량 385만대(예상치)보다 36만대 정도 적은 수준이다. 도로공사에 따르면 이날 이날 오후 1시30분 기준 전국 고속도로를 이용한 차량은 122만대로 집계됐다. 수도권을 기준으로는 12만대가 나가고, 13만대가 들어온 것으로 집계됐다. 경부고속도로 부산 방향은 잠원∼반포 등 2㎞ 구간에서, 서울 방향은 옥산분기점∼목천 부근 등 14㎞ 구간에서 답답한 모습이었다. 서해안고속도로 서울 방향은 당진 부근∼송악 부근 등 3㎞ 구간에서 가다서다를 반복했고, 목포 방향은 차량 소통이 원활했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일산 방향은 장수∼송내 등 3㎞ 구간에서 정체가 빚어지기도 했다. 구리 방향은 원활한 흐름을 보였고, 중부내륙고속도로 양평 방향은 북충주∼충주분기점 부근 등 12㎞ 구간에서 차들이 거북이 운행이 이어졌다. 오후 3시 요금소 출발 기준, 지방 주요도시에서 서울까지 걸리는 예상시간은 ▲부산 5시간 ▲울산 4시간40분